· 심해성 어류(상어, 참다랑어류, 황새치 등) 덩치가 큰 포식자 생선은 메틸수은 함량이 높아서 주당 1회(80~100 g) 이상의 섭취 시에 주간 섭취허용량을 초과할 수 있으므로 임산부는 섭취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일반적인 어패류의 주당 1~2회(1회 80~100 g)의 어류 섭취는 인체에 오메가3, DHA(도고사헥사엔산), EPA(docosahexaenoic acid, 물고기 기름 속에 존재하는 불포화 지방산) 등 유익한 성분이 많아 인체에 유익함. 그러나 너무 많은 어패류의 섭취는 태아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생선에는 어린이의 발달에 유용한 DHA, EPA(eicosapentaenoic acid), 오메가-3 지방산, 비타민과 셀레늄 등이 다량 함유되어 어린이의 지능발달과 성장에 유익합니다. 따라서 일반 생선류는 주당 400 g 이하의 섭취는 권장합니다. 그러나 상어, 다랑어류, 새치류 등에는 유해한 메틸수은의 함유량이 높아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주당 1회(80 g) 이하의 섭취를 권고합니다.
· 가정에서 체온계가 깨지거나 금속수은이 발견된 경우 우선 최대한 많은 양의 액상 수은을 제거한 후 증기 제거를 시도합니다.
· 하지만 어떠한 경우에도 빗자루나 진공 청소기를 사용하여 액상 수은을 제거해서는 곤란하며 먼저 수은이 흘러나온 장소에서 임산부, 어린이를 벗어나게 합니다
· 조심스럽게 종이 한 장에 굴리거나 스포이트(spuit) 등의 도구로 빨아들여 금속수은 방울을 없앱니다.
· 금속 수은을 플라스틱 봉지나 밀폐된 용기에 넣은 뒤, 사용한 종이 또는 스포이트와 함께 폐기 - 당국(구체적으로 제시 필요함)에 연락하여 안전한 폐기 방법을 문의합니다.
· 기화된 수은 증기를 바깥 공기와 반드시 환기시키도록 하고, 틈새 등의 미세한 수은 금속이 잔존하여 천천히 기화될 수 있으므로 나머지 구역을 차단하여 일정 시간 지속적으로 환기합니다.
· 일반 가정용 형광등 내부에도 가스(기체) 형태의 금속 수은이 존재하므로 나머지 구역을 차단 후 충분히 환기시킵니다.
· 형광등의 파편이나 가루에 미량의 수은이 흡착되었기 때문에 잘 처리하여 폐기하며, 만약 빗자루, 청소기를 사용하였을 경우 즉시 세척합니다.
· 수은이 노출된 곳에 낮은 각도에서 손전등을 비추어 반짝거리는 것이 있는지를 반드시 확인하여 물티슈 등으로 제거합니다.
· 잔여 수은은 접착력이 강한 테이프로 제거하거나 황가루를 뿌린 카드나 두꺼운 종이를 이용해 밀폐용기에 담아 폐기 처분합니다.
· 다 제거한 다음 창문을 열어 실내를 충분히 환기시켜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