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생활 속의 수은(Hg)

수은의 상태에 따른 특성

수은의 인체 내 흡수, 대사, 배설 및 독성은 수은의 화학적 성질과 상태에 따라 달라지므로 크게 금속수은, 무기수은 및 유기수은으로 구분하여 파악해야 한다.

1) 금속(원소) 수은

· 금속 수은은 상온에서 은백색 무취의 액체 상태로 존재하며, 온도계, 압력계, 기압계, 형광등 등에 사용됨
· 주로 기화된 수은 증기를 흡입하여 몸속으로 흡수되는데, 흡수된 금속 수은은 곧 무기 수은으로 산화되어 단백질과 결합되고 누적됨
· 금속 수은은 손상되지 않은 피부를 잘 통과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입을 통하여 노출되었을 경우 거의 흡수되지 않고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금속 수은의 피부 접촉, 특히 삼키는 행위는 절대 주의해야 함

2) 무기 수은

· 일반 대기환경에서는 무기수은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과거 및 최근의 인간 활동에 의해 누적되었거나, 지각 또는 화산폭발, 바다와 토양에서의 증발 등의 자연적인 원인으로 발생함
· 염소, 황, 산소 등과 결합하여 가루형태로 존재하며 방부제나 미백 화장품, 농약 등에 쓰이기도 함
· 주로 호흡기를 통해 흡수되며 피부 접촉이나 삼킴에 의한 흡수는 상대적으로 적음

3) 유기 수은

유기 수은은 수은과 알킬기, 아릴기, 유기산기 등이 결합한 것으로 의약품, 농약, 방부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음

4) 메틸 수은

· 사람의 유기 수은 노출은 주로 메틸수은에 의해서 발생함
· 환경 중 순환하는 수은은 담수와 해수의 퇴적물 속에 있는 미생물에 의해 메틸수은으로 변환되고, 먹이사슬을 통해 특히 포식자 생선(상어, 고래, 참치 등) 어종일수록 고농도의 메틸수은이 축적됨
· 메틸수은이 농축된 어류를 사람이 섭취하는 경우 소화기관을 통해 95% 이상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어패류의 섭취는 주요한 수은 노출 경로로 작용함
· 인체 내 수은의 80∼90%는 어패류 섭취를 통해 유입되고, 체내에 존재하는 혈중 수은의 75% 정도는 과거 30일 이상의 어패류 섭취를 통한 메틸수은의 체내 유입에 의함

작성 및 감수 : 보건복지부_대한의학회_대한직업환경의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