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생활 속의 수은(Hg)

개요

수은의 물리적 성질은 은백색을 띠며, 어는점이 -38.83℃이고, 끓는점은 356.73℃로, 금속 중에서는 액체로 존재하는 온도범위가 가장 좁은 것 중의 하나이다. 밀도는 20℃에서 13.543 g/cm3로, 물의 13.567배이다. 표면장력 아주 크며, 쏟아지면 작은 방울들로 쉽게 나뉘어진다. 금속 중에서는 열 및 전기전도도가 예외적으로 적은 편이며, 전극으로 사용할 만큼 비교적 좋은 전기전도체로 용도가 많으나 독성이 큰 액체 금속이다.

· 수은은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으로 환경오염과 연관하여 최근 국제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는 환경오염물질
· 수은의 위해성이 전 세계에 알려지고 주목 받기 시작한 것은 1956년 일본에서 발생하여 5천여 명의 사망자와 환자가 발생한 미나마타병 사건이 가장 큰 계기가 됨
· 수은의 전 지구적인 이동특성과 국제적 순환 특성으로 인해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음
· 수은은 실온에서 유일하게 액체이며 온도에 따른 부피 팽창률이 일정한 화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온도계, 압력계, 기압계 등에 흔히 사용되고 있고, 배터리, 램프, 전자장비, 안료, 윤활제 및 촉매 등에도 널리 사용됨, 또한 페인트 방부제, 미백 용품, 치과용 아말감과 의료용 용도로도 이용되고 있음
· 수은은 성질과 상태에 따라 금속(원소)수은, 무기수은, 유기수은으로 구분되고 생태계 순환, 축적과 인체 노출은 그 종류에 따라 다름
· 최근 국내에서는 작업장에 대한 환경관리가 엄격해짐에 따라 작업장에서 금속 및 무기수은의 흡입으로 인한 수은 중독사례는 감소하였으나 아직도 많은 직종에서 사용되고 있어 이에 대한 관리가 여전히 필요함
· 환경 중의 수은은 대부분이 무기수은으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생물체 내에서는 메틸수은의 비중이 90% 이상이며 주로 어패류 섭취에 의해 노출됨
· 우리나라 국민들의 인체 내 수은 농도가 국제적으로 높으며, 주요 노출경로는 어패류 섭취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음. 따라서 수은 고 노출 지역인 해안지역 주민, 취약계층이 임산부 및 취약계층에 대한 수은 노출 관리가 중요한 상황임

작성 및 감수 : 보건복지부_대한의학회_대한직업환경의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