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업성(소음성) 난청의 원인
· 재해의 발생이나 작업능률의 저하 등 직접적인 각종 피해를 야기
· 청각장애 이외에도 심혈관계 질환과 고혈압의 발생에 영향
· 스트레스와 정신장애를 급격히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 수행행동능력 장애, 수면 장애, 대화 방해 등 건강과 일상생활에 영향
이와 같은 소음으로 인한 청력장애로 신체적, 정서적, 행동학적, 사회적 기능에 영향
· 심장 및 순환기계, 내분기계, 신경계 및 소화기계 등에 영향
· 호흡, 심박동률, 표피 혈류, 말초혈관의 수축, 피부온도, 떨림, 위액분비 기능, 위장관 활동, 뇌의 생물전기적 활동 등의 생리적인 효과
· 혈중 지질, 혈중 포도당, 코티졸(cortisol), 에피네프린(epinephrine),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도파민(dopamine), 성장호르몬, 마그네슘(Mg), 칼슘(Ca) 농도 등의 변화와 같은 생화학적인 효과
청력의 저하, 난청은 소리의 감지, 언어의 이해 그리고 소리의 방향 근원지 탐지의 어려움 등을 야기하고, 의사소통의 문제는 난청의 정도와 유형에 따라 그 영향이 다양하지만 난청의 정도가 심하지 않더라도 다음과 같은 일상생활에서의 어려움을 호소한다.
- 전반적인 삶의 질 저하 : 의사소통의 제한으로 인한 타인과의 사회적 소통의 제약
- 정신적 건강 문제 : 사회적 고립감, 외로움, 불안 및 우울, 낮은 자존감
- 인지기능의 저하 : 제한된 정보의 유입으로 인한 인지기능의 저하
- 관계 형성의 문제
- 전반적인 건강 문제
- 경제적 활동의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