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만성기관지염

기능 및 구조적 변화

기도폐쇄는 기도내강, 기도벽, 기도주변의 변화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이는 분비물이 증가하거나(기도내의 변화) 기도의 염증반응 및 부종(기도벽의 변화) 또는 폐실질의 파괴(기도주변의 변화)로 인해 생길 수 있습니다.
기도폐쇄를 일으키는 기전에 대해 여러 가지 가설이 있으나 단백질분해효소의 불균형과 활성산소종이 주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만성 기관지염으로 인한 기도 변화-담배연기 등에 의한 반복적 자극(분비물 증가)
염증반응 및 부종
보건복지부,대한의학회 제공

담배연기 등 여러 가지 자극에 의해 염증세포가 자극되며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이 증가합니다. 동시에 활성산소종이 생성되어 폐조직을 파괴하며 염증반응이 유발되어 소기도질환(Small airway disease)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상태에서 자극이나 염증이 계속되면 만성기관지염이 발생하게 됩니다.

감염과 자극성 물질의 흡입으로 기도내의 점액분비가 증가하고, 섬모(가는 털)의 기능을 저하시켜서 점액 배출능력이 떨어집니다. 또한 폐안에 있는 탐식세포 기능장애로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하여 기도 감염이 반복되는 것입니다.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