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골격성 부정교합의 치료

턱교정 수술 치료의 필요성

1. 위험요인

1) 부종

턱교정 수술은 대부분 구강 안으로 시행하고 악골에서 골막을 분리하여 수술하므로 부종과 종창이 심한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수술시 조직을 섬세하게 다루고 철저한 지혈이 필요하며, 적절한 배액과 약물투여 및 냉찜질 또는 압박 지혈이 요구됩니다.

2) 출혈

턱교정 수술은 주로 골막안에서 행해짐으로 심한 출혈은 드물지만 혈관의 해부학적 위치가 다르거나 서투른 기구 사용으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호흡곤란

턱교정 수술은 수술 후 기도에 대한 각별한 간호가 필요합니다. 특히 악간 고정(intermaxillary fixation)을 한 경우에는 호흡곤란이 있는 가를 수시로 관찰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수술한 다음 날까지 보호자가 환자 옆에 있고, 호흡곤란이 있는 가를 수시로 관찰하여야 합니다. 하악골 보다 상악골 수술할 때에 심한 출혈로 인한 기도부종으로 호흡곤란이 우려됩니다.

4) 감염 및 골괴사

턱교정 수술은 구강내에서 행해짐으로 구강의 정상 세균에 노출되지만 악골과 구강의 조직에는 혈류가 풍부하여 감염은 드물게 발생하는 편입니다. 그러나, 혈류공급에 문제가 될수 있는 수술방법, 즉 악골을 골편을 분할하는 수술법(segmental osteotomy)을 할 때에는 골편에 부착되어 있는 골막과 근육등의 연조직을 손상시키지 말아야 합니다.

5) 신경손상

턱교정 수술시 신경의 노출은 어쩔 수 없이 이루어지며 신경이 노출된 후 손상을 입더라도 안와하신경, 하치조신경, 이신경이외에는 감각이 회복됩니다. 수술시 조심스런 접근으로 신경손상을 최소화한 수술이 가능합니다.

6) 턱관절 이상

턱교정 수술에 의하여 악골이 이동될 때에 치아의 교합이 변화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하악과두의 위치가 변화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수술시에 하악과두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술자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만일 수술 직후에 환자가 턱관절 부위의 통증을 호소하고 악간고정을 풀었을 때 교합이 심하게 변위될 때에는 골편고정에 대한 수정이 불가피합니다.

7) 아랫 입술의 처짐(lower lip sagging)

하악후퇴증에 대한 수술이나 전진성 이부 성형술(advancing genioplasty)후에 입술을 다물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원인은 악골의 증대에 비하여 연조직이 부족할 때, 그리고 턱끝 근육의 유합이 안된 경우에 발생합니다. 수술후 아랫입술을 아래치아 위로 들어올리는 운동을 하면 대개는 해결되고 심한경우에는 턱끝근육을 위로 올려 봉합합니다.

8) 코의 변형과 넓어짐(nasal deviation과 flaring)

상악의 턱교정 수술에서 항상 어려운 것이 코에 대한 것입니다. 특히 동양인에게는 코의 윤곽이 뚜렷하지 않기 때문에 코의 모양이 조금이라도 악화되지 않는 방법으로 수술해야 합니다.

9) 치아손상

치아손상은 분절골절단술(segmental osteotomy)시에 많이 발생합니다. 치근의 측면보다 치근단이 손상되면 흔히 신경이라불리는 치수(pulp)가 괴사되어 나중에 치근단 농양 등 증상이 있는 치근병소가 될 수 있습니다.

10) 골절

수술중 골절의 위협은 항상 존재하며 호발 부위는 상악골과 구개골의 경계, 하악과두돌기(condyle), 하악골체부(madibular body), 이부성형시의 원심골편입니다.

11) 골유합의 지연

악안면 부위는 혈류가 좋고, 골편의 강성고정(rigid fixation)으로 골유합의 지연은 드물게 발생합니다. 그러나 철사에 의한 골편고정과 악간고정으로 골편고정을 하였을 때 환자가 말을 많이 하거나 악간고정이 느슨하게 되는 경우에는 골유합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12) 재발(relapse)

재발이란 악골의 위치가 수술 후에 변하는 것으로 주된 요인은 재발의 경향이 있는 악골 변형의 유형에 대하여 부적절한 수술방법을 시행할 때 많이 생깁니다.

2. 심미적 개선

악교정 수술은 부정교합이 개선되었다하더라도 적절한 심미성을 얻지 못한다면, 기능적인 목적이 달성되었지만 만족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환자가 치료하고자 하는 첫 번째 이유는 그들의 치아나 안모의 심미적 개선을 위한것이므로 담당의는 이를 만족시켜야 합니다. 과거와 달리 오늘날 교정의는 치료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선택할 많은 치료방법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구강외과의사, 성형외과의사와 협진하여 치료결과가 더욱 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합니다. 즉, 치아의 정상 교합만이 아니라 골격적인 개선을 이루기 때문에 기능이외에도 심미적인 안모를 회복할 수 있습니다. 즉 무턱인 경우에는 하악전진술(mandibular advancement), 하악골 전돌증인 경우에는 하악후퇴술(madibular set back), 이외에도 이부 성형술(genioplasty), 비성형술(rhinoplasty)를 동반하여 안모의 심미적인 개선을 이룰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교정의는 항상 환자와 상의하여 환자가 치료계획에 결정에 포함됨으로써 의료진의 결정과 치아와 골격의 이동에 의한 안모의 영향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3. 기능적 개선

대부분의 골격성 부정교합 환자는 얼굴의 모양 때문에 수술을 합니다. 물론 골격성 부정교합으로 인한 여러 가지 기능적인 문제가 많지만, 어렸을 때부터 오랫동안 익숙해 왔고, 대부분의 환자가 젊기 때문에 기능적인 문제에 잘 적응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수술을 하면서 악-구강계의 구조가 변화되기 때문에 정상적인 교합, 구순폐쇄, 그리고 턱관절의 기능적 개선이 될 수 있도록 치열교정과 수술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골격성 부정교합에 있어 흔히 있는 기능적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전치부의 교합이 불량하여 음식을 절단하는 전치의 기능이 안되어 입안에서의 일차적인 소화가 불량합니다.
  2. 구순의 불완전 폐쇄로 구호흡의 경향이 있습니다.
  3. 발음이 불량합니다.
  4. 부정교합과 구호흡 때문에 구강 건강이 불량하여 충치나 잇몸질환에 잘 걸립니다.
  5. 부정교합으로 인한 불안정한 교합으로 턱관절증이 많이 있습니다.

4. 심리적 개선

골격성 부정교합환자는 미관상 이쁘다는 것 이외에 심리적인 문제를 수반합니다. 상담하는 환자들은 자기자신의 얼굴에 대한 열등감을 가지고 있고 습관적으로 고개를 숙이고 말을 하거나 웃을 때 습관적으로 입을 가리는 습관이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은 사회생활을 적응하는데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정신적 상담을 원할 수 있습니다. 악교정 수술은 이러한 심리적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나 터무니없는 기대는 금물이며 의료진과 상담하여 개선범위에 대하서 사전에 충분히 인지하여야 합니다.

작성 및 감수 : 대한치의학회_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