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두드러기

예후

급성두드러기의 경우 주로 음식물이나 약물 또는 감염 등에 의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아 비교적 예후가 좋으나, 만성 두드러기의 경우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고 원인에 따라 예후도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만성 두드러기 환자의 50%에서 1년 내 증상이 좋아진다고 하며 5년 내 85%가 좋아지며 10년 이상 지속되는 경우는 5%가 안 됩니다. 두드러기의 증상이 심하거나 맥관부종이 동반되거나 자가면역 기전에 의한 두드러기는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두드러기의 원인은 다양하며 또한 만성적이며 개개인에 따라 치료효과에도 차이가 납니다. 그러므로 두드러기 환자가 내원한 경우 단계적 접근을 하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첫 번째 단계로 문진과 피부 및 전신증상을 토대로 적절한 검사를 시행하여 전신적 질환에 기인한 두드러기를 배제하고 가능한 한 두드러기의 원인과 악화요인을 파악하여 환자에게 원인 및 악화요인을 제거하거나 회피하는 방법에 대해 정보를 주고 교육하여야 합니다.

두 번째 단계로 앞에서 언급하였던 일반적 치료원칙에 따라 기존의 항히스타민제를 투여합니다. 2세대 항히스타민제는 용량의 증감이 쉽지 않으므로 주로 1세대 항히스타민제를 사용 가능용량까지 사용하며 다른 종류의 항히스타민제를 추가합니다. 기존의 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 세 번째 단계로 예외적 치료를 고려합니다. 두드러기는 많은 경우 일시적이고 피부증상을 제외하고는 큰 증상이 없는 가벼운 질환입니다. 그러나 만성적인 경우 우리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질환이나 대부분의 두드러기는 피부과 의사의 진료와 상담으로 잘 조절될 수 있습니다.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피부과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