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실신

진단

보통 실신을 경험한 환자, 보호자 또는 목격자와 자세한 면담만으로도 50% 정도의 원인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의사는 실신에 대한 병력 조사, 체위 변화에 따른 혈압 측정, 신체검사, 심전도 검사를 통해 기질적 심질환, 심근 허혈, 부정맥 유무에 대한 평가를 합니다. 만약 심장의 문제가 의심되면 반드시 심장전문의에게 의뢰해 정밀검사로 원인을 밝히고 근본적인 치료를 해야 합니다. 실신의 원인이 심장 문제는 아닌 것으로 추정되지만 실신이 자주 일어나거나 위험한 일에 종사하거나 운동선수처럼 심장의 부담이 큰 경우에는 기립경사 검사를 실시해 미주신경성 실신인지를 확인합니다. 출혈에 의한 실신이 아닌 경우 일반적인 혈액검사는 큰 도움이 안 되고 실신의 원인으로 뇌질환이 의심되지 않으면 뇌파검사 나 뇌 CT, 뇌 MRI 와 같은 검사도 별 도움이 안 됩니다.

결국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실신 전후 상황에 대한 설명과 현장을 객관적으로 목격한 사람의 설명이 중요합니다. 또한 의사는 이를 잘 듣고 원인을 추정해야 합니다. 평소 단골로 이용하는 병원의 의사나 1차 진료 의사와 상의를 하고, 필요한 경우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작성 및 감수: 질병관리본부_대한의학회_대한가정의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