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리조직검사과정은 크게 육안관찰과정, 슬라이드제작과정, 현미경관찰 이라는 세단계로 나누어집니다.
인체에서 떼어진 조직은 병원 병리과로 보내지게 됩니다. 병리과에서는 조직에 일련번호를 붙이고 환자정보와 함께 전산 자료화합니다.
병리의사는 이제부터 육안관찰을 시작합니다. 어느 장기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길이, 무게를 측정하고 나서 병변을 찾기 시작합니다. 이때, 병변이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해 여러 방향으로 자르거나, 잉크로 위, 아래, 바깥 쪽, 안 쪽 등의 방향을 표시하거나 필요하면 사진촬영을 할 수 있습니다. 병변의 색깔, 개수, 크기, 단면이 단단한지, 연한지, 출혈이 있는지, 괴사가 있는지, 주변 조직과 어떻게 연결되는 지 등을 면밀히 관찰하고 기록합니다. 암이 의심되면 임파절 전이여부를 보기 위해 장기 주변에서 꼼꼼하게 임파절을 찾아야 합니다.
위암을 제거하기 위해 잘라낸 위장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한 쪽 변이 짧은 가죽주머니 모양입니다. 위장 전체의 길이, 무게를 재고 나서 위암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찾아봅니다. 특유의 주름을 가진 내부를 자세히 보니, 주름이 끊어지면서 크게 파인 곳이 있고 그 가운데가 노랗게 썩어가고 있습니다. 이 곳의 크기를 재고 칼로 잘라 단면을 관찰합니다. 단단한 두부 같은 회백색 종양이 위장 벽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위장은 위로는 식도, 아래로는 십이지장과 연결되어 있었으니 잘라낸 위장 양 끝 수술절단면에 종양이 펴져있다면 식도, 십이지장에도 종양이 남아있을 테니까 양 끝 수술절단면도 반드시 관찰해야 합니다. 병변 부위를 유리슬라이드에 올릴 수 있는 작은 크기로 잘라 캡슐그릇에 담으면 육안관찰과정이 끝납니다.
우리 몸의 일부로 살아있던 조직을 현미경관찰용 조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일련의 화학적 처리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우선 포름알데히드라는 일종의 저장용액에 담가 고정시킵니다. 탈수, 탈 지방 등의 화학적 처리 과정을 통해 칼로 저밀 수 있을 만큼 단단하게 만들어야 하는데, 보통 이 과정을 순차적으로 해 주는 기계를 이용하며 최소 12시간 정도 처리시킵니다.
이 조직을 따뜻한 양초 안에 굳히는데 이를 파라핀 블록이라고 부릅니다. 이 블록을 자격증을 가진 훈련받은 병리기사가 기계식 칼로 종이휴지만큼 얇게 저밉니다. 이 얇은 조직을 유리슬라이드 위에 올려놓고 양초를 제거한 뒤 두 가지 대조되는 색깔로 염색합니다. 이 위에 뚜껑유리를 씌우면 현미경 관찰을 위한 슬라이드 만들기가 끝납니다.
다음은 병리전문의사가 현미경 관찰을 하게 됩니다. 다양한 배율의 렌즈를 통해 조직의 모습을 면밀히 관찰합니다. 낮은 배율의 렌즈로 구조적 틀을 보고 나서 높은 배율의 렌즈로 조직의 기본단위인 세포의 여러 가지 모습을 관찰합니다.
세포의 크기와 모양, 핵의 크기와 모양, 세포상호간의 관계, 세포내부의 구성물질, 세포가 분열하는 정도, 감염균, 기생충 등의 이물질의 유무, 염증반응 유무, 혈관형성의 정도 등등 수많은 모습들을 관찰하게 됩니다.
이 때, 전문자료를 찾아보고 경험했던 다른 슬라이드를 꺼내 다시 보기도 하고, 다른 병리전문의사와 같이 보면서 의견을 나누기도 합니다.
의료기술의 발달로 검사과정은 많이 쉽고 간단해졌지만 현미경관찰과 질환명 결정이라는 병리전문의사의 역할은 수세기 동안 변함없이 이어져오고 있습니다.
어떤 경우는 수 분만에 결정이 내려지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전문지식, 경험, 충분한 관찰시간을 들여 신중하게 질환 명을 결정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