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백반증

치료

백반증의 치료는 여러 가지 치료방법이 시도되고 있지만 만족스럽지는 못합니다. 백반증은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단계별, 반응별 치료를 하되 약물치료, 자외선치료, 외과적 치료 등을 실시하게 됩니다.

10세 미만의 어린이거나 증상 부위가 좁을 때에는 국소 스테로이드제 연고를 바르거나 병변 부위에 스테로이드를 직접 주사하기도 합니다. 증상 부위가 넓을 때는 전신 광선 치료를 하며, 최근에는 단파장 자외선 B(narrow band UVB)를 많이 이용합니다. 최근에는 엑시머 레이저(excimer laser)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부위의 자외선 노출을 최대한 줄이면서 증상 부위만을 치료하는 표적 광치료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장기간 안정된 부위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흡입 수포술, 세포 이식술 등 외과적 치료를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백반증이 있는 탈색 부위는 태양광선에 대한 보호기능이 없습니다. 그래서 일광화상을 입기가 쉽습니다. 노출된 피부에 있는 백반증 부위는 최소한 일광차단지수(SPF) 15 이상의 선 크림을 발라야 합니다. 햇볕이 최대로 강할 때는 노출을 피해야 합니다. 화장으로 가리거나, 커버마크 등을 사용하는 것이 눈에 덜 띄게 하는 안전한 방법입니다. 화장품가게 등에서 피부색깔에 맞는 커버마크를 판매합니다. 병 자체를 낫게 하는 것은 아니지만, 보기에는 나을 수 있습니다.

선 스크린과 화장품 등으로 해결이 안 된다면 피부과적인 치료를 하게 됩니다. 피부과에서 하는 치료의 목적은 정상 피부색깔이 돌아오게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완전히, 영구히 낫게 하는 치료법은 없습니다.

1. 바르는 약 사용

1) 스테로이드제

병변이 적은 경우에는 바르는 스테로이드가 효과가 있고 다른 치료와 병행할 수도 있습니다. 오남용할 때는 부작용으로 피부가 얇아지고 갈라지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치의에게 진찰을 받으면서 처방을 받아야 합니다.

2) 타크롤리무스(Tacrolimus), 피메클로리무스(pimecrolimus)

타크롤리무스(Tacrolimus)는 1980년대 말 일본에서 처음 발견된, 진균과 비슷한 세균종류인 Streptomyces tsukubaensis의 세포배양액에서 분리되어 초기에는 경구제제로 장기이식 환자들의 면역억제제로 사용되었던 약제입니다.

1990년대에 들어와 연고제제로 개발되어 아토피피부염의 치료에 처음 도입되었고 이후 그 사용범제제로 다른 염증성 피부 질환으로 확대되고 있는 약제입니다.

최근 백반증 환자에서 사용하여 좋은 결과를 보임이 보고되었고 스테로이드 연고 사용과 비교해서 경도의 작열감, 소양감은 있었지만 피부 위축, 혈관 확장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보고된 바 있습니다.

부위별로는 태양 광선 노출부위인 얼굴이나 목 부위에서 비노출부위보다 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백반증에서 타크롤리무스에 의한 재색소화는 진피 및 표피의 여러 면역 반응의 조절을 통하여 이루어질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피메클로리무스(Pimecrolimus)도 역시 타크롤리무스(tacrolimus)와 비슷한 기전으로 아토피 피부염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약물로 백반증 치료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2. 먹는 약 사용

1) 스테로이드제

스테로이드제 복용은 전신 부작용으로 장기간의 사용은 불가능하나 단기간의 치료로 빠른 호전을 보이는 환자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백반증이 활발히 진행하고 있거나 전신적인 임상형인 경우 저용량의 스테로이드제 복용을 심각한 부작용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3. 광선 치료

1) 광화학요법 (PUVA)

이 방법은 메톡살렌 (Methoxsalen 10mg 캡슐, 전문의약품) 이라는 약을 먹고 나서 자외선을 쪼여주는 치료방법입니다. 이 약제는 피부를 광선에 민감하게 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이 약을 도포하거나 복용한 후에 자외선 A를 쪼여 주면 사라졌던 색소가 나타나게 됩니다. 이 치료를 위해서는 광선치료기라는 특별한 장비가 필요합니다. 자외선치료는 얼굴, 몸통, 팔다리의 위쪽에는 비교적 치료효과가 좋으나 손발은 치료효과가 적습니다. 보통 일주일에 두 번씩 일 년 이상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자외선치료는 피부과의사의 지도하에 하여야 합니다.

광화학요법의 부작용으로서는 자외선에 의한 화상 양상으로 나타나는 일광 화상 등이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치료하면 주근깨 등 색소 침착이 생기거나 피부암의 발생빈도가 증가될 수 있습니다.
9세 이하의 어린이나 임산부, 수유중인 산모, 특별한 약을 먹는 경우 등은 자외선치료를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메톡살렌은 눈에 대한 광과민성을 증가시키므로 자외선 차단 안경을 치료 때와 치료 후 최소한 24시간까지 사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눈의 보호는 백내장의 증가도 막아줍니다.

2) 단파장 광선 (narrow band UVB) 요법

단파장 광선요법은 현재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반증의 치료법으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광화학요법과는 달리 광감각제를 복용하지 않으므로 오심, 구토 등의 전신 부작용이나 피부가 따갑거나 화상 등의 피부 부작용이 없습니다. 또한 치료 후에 자외선을 차단해야 할 필요가 없고 소아나 임산부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백반증이 없는 정상피부에도 색소 침착을 유발하고 신체부위에 따른 광량의 조절이 어려운 한계점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3) 표적 광선 치료(targeted phototherapy)

308 nm 엑시머 레이저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치료효과가 기존 광선요법과 비슷하거나 더 높고, 치료기간이 더 짧으며, 이전 광선요법에 반응이 없는 경우에 효과가 있기도 하며, 소아 및 임산부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308 nm 엑시머 레이저를 이용한 광선요법은 치료 비용이 비싸고 넓은 부위를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제한점이 있어 모든 백반증 환자에게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노출 부위, 특히 안면부와 경부에 국한된 백반증 환자들에 대한 적용은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4. 수술

1) 흡입 수포 표피 이식

흡입 수포 표피 이식은 자기의 정상 피부에 음압으로 수포를 만든 후 수포의 지붕부위 표피를 떼어내어 백반증 부위의 표피를 제거시키고 떼어낸 수포의 지붕부위 표피(종이 한 장 두께, 약 0.05mm)를 붙이는 수술입니다.

백반증 부위가 한정되어 있는 국소형 백반증과 분절형 백반증의 경우 6개월 이상 병변이 커지거나 번지지 않을 때 효과가 좋습니다. 기타 다른 이유에 의한 저색소증 즉, 선천성 저색소반이나 염증 후 영구적 탈색소반 등에서도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수술방법은 우선 이식 전 백반증 피부에 액체질소로 냉동 치료를 하거나 레이저 박피술로 표피를 제거합니다. 정상 부위의 피부(대개 팔, 다리, 아랫배 부위)에 진공 흡입기로 2-3시간 동안 음압을 걸어 수포를 만든 후 병변부의 표피를 제거하고 수포의 지붕부위(정상 멜라닌 세포가 있는 표피)를 병변부에 놓고 밀착을 시킵니다.

이후 3-7일 후 치료 효과를 확인하는데 대체로 이식 3주 후 부터는 이식된 멜라닌세포가 잘 퍼지게 하기 위하여 광선 치료를 시작하게 됩니다.

이 방법은 다른 치료보다 빠른 효과를 볼 수 있고 표피를 떼어내어 이식하는 것이므로 흉터가 생기거나 출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1회 수술로 이식한 면적의 80% 이상의 치료 효과를 볼 수 있어 안면부위 경우 많이 시술되는 좋은 치료법입니다.

그러나 이식이 잘 되지 않는 경우, 이식 치료 후에도 재발하는 경우, 이식 부위의 색깔이 오히려 더 진해지는 경우, 수술 부위의 감염이나 흉터 발생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전피부 이식, 표피판 이식, 미니 피부판 이식, 배양한 멜라닌세포의 자가 이식

흡입수포 표피 이식 외에도 박피술(dermabrasion)에 의한 이식, punch minigraft, 피부를 제거한 후 세포를 배양하여 배양된 세포 부유액(suspension)을 이식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피부과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