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편평상피세포암

개요

1. 편평상피세포암의 정의 및 분류

1) 정의

편평상피세포암은 표피의 각질형성세포에서 유래한 악성 종양입니다. 종양의 크기 및 깊이, 원인, 해부학적 위치, 조직학적 특성에 따른 전이 등의 생물학적 양상이 기저세포암보다 복잡한 비흑색종 피부암으로 우리나라에서 기저세포암과 함께 가장 흔한 피부암의 하나입니다.

피부의 구조

(1) 조직학적 소견

편평상피세포암은 표피에서 유래한 침습성 암종으로 비전형적인 상피세포로 구성된 종양의 불규칙한 덩어리가 표피에서 진피로 증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침습성 종양의 덩어리는 잘 분화되고 정상처럼 보이는 편평세포와 비전형적인 편평세포가 서로 뒤섞여 있는데, 비전형적일수록 악성도가 높은 것으로 간주됩니다.
편평세포의 분화는 각질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므로 분화가 좋은 편평상피세포암에서는 특징적인 각질진주를 볼 수 있습니다. 각질진주란 중심부로 갈수록 편평세포의 각화가 이루어지는 모양이 동심원적 배열로 나타난 것인데 대개 중심부에서 완전한 각질을 형성하지는 못하며 각질진주 내에서 케라토하이알린 과립은 없거나 드물게 관찰됩니다.

 편평상피세포암 병리 조직 소견 사진. 보건복지부, 국립암센터, 대한의학회 제공

2) 편평상피세포암의 분류

(1) 태양에 손상된 피부에서 발생된 편평상피세포암

태양에 노출된 피부에서 일광 탄력섬유증을 배경으로 발생합니다. 크기가 증가하는 단단한 결절로서 나타나며, 이미 존재하는 광선각화증에서 종종 발생하기도 하고, 광선각화증과 동반되어 여러 곳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래 입술에 발생한 암은 일광구순염에서 나타나는 구진 혹은 과각화성 백판증으로 시작하기도 합니다. 점점 크기가 커지면서 진행하기도 하지만 침윤성 진행이 임상적으로 구별하기 어려울 때도 있습니다. 만성적으로 태양에 손상된 입술에서 작은 균열, 궤양 구진 등의 사소한 변화라도 생기면 반드시 생검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피부에 발생한 암보다 입술부위의 암이 위험해 빠르게 진행하고 전이율도 높습니다.

(2) 만성 염증성 질환 및 흉터에서 발생한 편평상피세포암

만성 하지 궤양, 화상 흉터, 골수염의 농루 등에서 크기가 증가하는 결절성 병변이나 궤양의 경계부에서 색다른 소견을 보이는 부분에서는 반드시 생검을 합니다. 오래된 단단한 흉터 속에 이러한 결절이 숨겨져 있기도 하고 오래된 궤양에서 임상적 변화 없이 암으로 진행하기도 하므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합니다.

(3) 비소 유발 편평상피세포암

비소 섭취에 의한 비소각화증과 보웬병에서 편평상피세포암이 발생합니다. 손바닥, 발바닥에 발생한 비소각화증에서 수년이 지난 후 궤양이 생기고 몸통의 보웬병에서 궤양이 발생한 경우 아물지 않고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진행합니다.

(4) 방사선 유발 편평상피세포암

방사선각화증에서 발생한 편평상피세포암은 인설성 반이나 미란 혹은 궤양이 나타나는 악성도가 높은 암입니다. 방사선 유발 편평상피세포암은 간혹 다발성으로 관찰되고 자외선에 의해 손상 받은 부위에서 발생한 기저세포암과 동반되기도 합니다.

(5) De novo(드노보) 편평상피세포암

처음부터 정상 피부에서 새로이 발생하는 편평상피세포암으로 흔하지 않습니다. 백인의 노출 또는 비노출 부위에 피부색의 결절이나 융기된 단단한 판으로 나타나고 빠르게 침윤하고 전이율이 높습니다.

(6) 사마귀양 암종

서서히 증식하며 사마귀 모양 혹은 꽃배추 모양으로 돌출하는 덩어리를 형성하고 전이는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부위별로 구강 내, 성기부위, 발바닥의 사마귀양 암종이 있습니다.

2. 편평상피세포암의 발생부위

편평상피세포암의 발생 부위는 지역에 따라 다릅니다. 호주나 미국의 텍사스에서는 햇빛에 자주 노출되는 얼굴, 목, 팔 등에서 많이 발생하고, 뉴기니아 흑인에서는 화상 또는 외상성 반흔이 잘 생기는 다리에 흔하고, 태국 또는 인도네시아 같은 곳에서는 얼굴, 목, 하지에 골고루 발생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때 성기부나 화상 흉터에서 발생된 예가 보고 되었으며, 최근에는 햇빛에 노출되는 부위인 얼굴에 과반수에서 발생하고 특히 입술, 뺨 등에 잘 생기며 하지에서도 1/5에서 발생하여 흉터도 중요한 유발인자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이는 일본의 경우와 비슷합니다.

작성 및 감수 : 국가암정보센터_대한의학회_대한피부과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