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사무용품에 의한 오존,휘발성유기화합물( VOCs), 중금속

예방 및 관리

1) 발생원 관리(Source control)

발생원 관리는 VOCs 및 폼알데하이드 등의 오염물질을 실내공기 중에 방출시키는 원인을 제어함으로써 오염물질이 실내공기 중에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개선기술이다, 대표적인 발생원 관리기법으로 친환경자재의 시공, 친환경사무용품의 사용 및 베이크아웃의 시행을 들 수 있으며, 시공현장에서 실제로 적용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2) 환기(Ventilation)

환기는 사무용품 등에서 방출되거나 외기로부터 유입된 실내공기오염이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형성된 기류에 의해 수송되거나 오염물질의 농도 차이에 의하여 확산되는 원리에 의해 실내의 오염물질 농도를 희석시키는 개선기술이다. 환기에 의하여 실내공기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는 환기방식에 따라 자연환기를 활용하는 방법과 기계환기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제품이 생산된 지 1개월이 지난 경우에도 구입 후에는 환기를 충분히 해 줄 필요가 있다. 전자제품은 가급적 사용시간을 줄이고 장시간 사용 시에는 자주 환기시켜주는 것이 좋다.

3) 공기정화(Air Cleaning)

공기정화기술은 자재 혹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이 흡착성 물질에 의해 흡착되거나 광촉매 및 오존의 산화에 의해 분해됨으로써 실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이다. 공기정화에 의하여 실내공기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에 의해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청정기 등의 기계장치를 설치하는 방법과 광촉매 및 화학/천연물질에 의해 유해물질을 분해ㆍ흡착하는 방법이 있다.

자연환기가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것만으로 실내공기의 질을 좋게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이럴 때 공기청청기는 도움이 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미세먼지, 곰팡이, 세균 등을 줄여서 실내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으나 설치한 후에는 필터를 주기적으로 청소해 재오염을 방지해야 한다.

실내공기 오염 제어 유형

작성 및 감수 : 보건복지부_대한의학회_대한직업환경의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