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Home
Sitemap
직원로그인
전체메뉴
진료안내
진료과/의료진
진료일정표
외래/응급진료안내
진료절차
입/퇴원안내
증명서발급
비급여진료수가고지
진료센터
수부미세재건센터
관절내시경센터
인공관절센터
관절연골보전센터
연골재생센터
스포츠의학센터
족부센터
척추센터
두통센터
검진센터
근골격계 초음파
진단적관절 내시경
종합검진센터
소화기 내시경센터
도수재활치료센터
슬링·감각통합도수치료센터
소통마당
병원새소식
메트로소식지
메트로갤러리
홍보영상
고객의소리
칭찬합니다
온라인 의료상담
채용정보
채용공고
건강정보
척추/관절/기타질환정보
질병/건강정보
검사/처치정보
4대중증질환정보
병원안내
병원소개
병원연혁
의료장비소개
물리치료 특수 장비
병원시설안내
원내배치도
전화번호안내
주차안내
오시는길
서브 비주얼
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건강정보
척추/관절/기타질환정보
질병/건강정보
검사/처치정보
4대중증질환정보
문의 및 검진예약
진료문의 :
055-259-7700
검진문의 :
055-259-7600
야간진료 :
055- 259-7719
질병/건강정보
홈 > 건강정보 >
질병/건강정보
사무용품에 의한 오존,휘발성유기화합물( VOCs), 중금속
개요
발생원
발생인자 및 종류
건강에 미치는 영향 및 관련 질환
예방 및 관리
소비자들이 자주하는 질문
기타 정보
발생인자 및 종류
1) 오존
ㆍ 사무실에서 이용하는 복사기, 프린터 등 사무용 기기에서 발생하며, 고농도에 노출되면 눈과 몸 등이 따갑고 호흡곤란
· 심하면 폐활량이 감소하는 등 폐기능에 악영향
2) 휘발성유기물질(VOCs)
· 사무실에서 이용하는 프린터에서 많이 발생하며, 눈이나 코의 점막과 피부 자극
· 어린이나 노인은 물론 천식 및 아토피 등 질환자는 질환이 심화될 수 있어 주의 필요
(1)폼알데하이드
· 단기노출시 코와 목 자극, 불쾌감, 눈물 흘림, 재채기, 기침, 메스꺼움, 호흡 곤란 등 유발
· 장기노출시 발암성, 국제암연구센터(IARC)에 의해‘분명한 인체발암물질물질(Group 1)’로 분류
(2) 벤젠
· 인체 백혈구감소증에 의한 뼈 및 골수조직 위축으로 인해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감소, 재생불량성 빈혈 유발 가능
· IARC 발암성 1급으로 백혈병, 림프선암, 혈액암 등 유발
(3)톨루엔
· 단기노출 증상으로는 중추신경계 자극으로 구토, 위에 영향, 신경계통의 이상 유발(신경독성)
· 장기노출시 혈뇨증, 단백뇨, 떨림 등 유발(간 및 신장 독성)
· 인체 및 동물에 대한 발암성 증거는 불충분함
(4) 에틸벤젠
· 고농도 흡입시 폐와 중추신경계, 저농도 장기노출시 간, 신장 등 내장기관 영향
· 발암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음
(5) 자일렌
· 고농도의 환경(수백~수천 mg/㎥)에 단기 노출시 신경자극, 현기증, 감각상실, 수행능력 감퇴, 기억력 저하 등 유발
· 장기 노출시 피부염, 각막훼손 등 유발 가능성, 동물실험에서 간독성, 태아에 기형유발 가능성 보고
(6) 스티렌
· 단기노출시 눈, 피부, 코, 호흡기 자극(84,000 ㎍/㎥), 고농도(200,000 ㎍/㎥) 마취증상 유발
· 장기노출시 신경계, 신장, 폐, 간에 영향
· EPA에 의해 발암성 C등급(가능한 인체발암물질)으로 분류
3) 초미세먼지(PM2.5)
· 입자의 직경이 2.5㎛ 이하 먼지로 주로 자동차 매연과 공장굴뚝에서 배출되나 복사기 및 프린터에서도 발생
· 흡입하면 폐에 염증을 일으키거나 심근경색 유발
4) 중금속
· 프린터 출력시에 배출되는 분진 중에 납, 수은, 크롬, 카드뮴 등 함유 가능
· 식품오염을 통해 다량 섭식되기도 하지만, 분진에 의해 흡입되기도 함
· 납, 카드뮴, 수은, 크롬 등은 인간에게 중독장해를 일으키기 쉽고 독성도 강함
- 납 : 만성독성으로 납이 뼈에 침착하여 골수에 영향
- 카드뮴 : 이타이이타이병이 대표적인 예로 골연화증, 신장장해 유발
- 수은 : 미나마타병이 대표적인 예로 중추신경장해인 Hunter-Russell 증후군(손발의 저림, 운동장해, 시야 좁아짐 등)
- 6가크롬 : 암발생을 증가시키고, 접촉부위에 부식이 강해 비점막천공 등 유발
· 프린터는‘전기ㆍ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에 의해 2008년 1월부터 납, 수은, 6가크롬 등은 0.1% 미만, 카드뮴은 0.01% 미만으로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