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사무용품에 의한 오존,휘발성유기화합물( VOCs), 중금속

발생인자 및 종류

1) 오존

  • ㆍ 사무실에서 이용하는 복사기, 프린터 등 사무용 기기에서 발생하며, 고농도에 노출되면 눈과 몸 등이 따갑고 호흡곤란
  • · 심하면 폐활량이 감소하는 등 폐기능에 악영향

2) 휘발성유기물질(VOCs)

  • · 사무실에서 이용하는 프린터에서 많이 발생하며, 눈이나 코의 점막과 피부 자극
  • · 어린이나 노인은 물론 천식 및 아토피 등 질환자는 질환이 심화될 수 있어 주의 필요

(1)폼알데하이드

  • · 단기노출시 코와 목 자극, 불쾌감, 눈물 흘림, 재채기, 기침, 메스꺼움, 호흡 곤란 등 유발
  • · 장기노출시 발암성, 국제암연구센터(IARC)에 의해‘분명한 인체발암물질물질(Group 1)’로 분류

(2) 벤젠

  • · 인체 백혈구감소증에 의한 뼈 및 골수조직 위축으로 인해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감소, 재생불량성 빈혈 유발 가능
  • · IARC 발암성 1급으로 백혈병, 림프선암, 혈액암 등 유발

(3)톨루엔

  • · 단기노출 증상으로는 중추신경계 자극으로 구토, 위에 영향, 신경계통의 이상 유발(신경독성)
  • · 장기노출시 혈뇨증, 단백뇨, 떨림 등 유발(간 및 신장 독성)
  • · 인체 및 동물에 대한 발암성 증거는 불충분함

(4) 에틸벤젠

  • · 고농도 흡입시 폐와 중추신경계, 저농도 장기노출시 간, 신장 등 내장기관 영향
  • · 발암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음

(5) 자일렌

  • · 고농도의 환경(수백~수천 mg/㎥)에 단기 노출시 신경자극, 현기증, 감각상실, 수행능력 감퇴, 기억력 저하 등 유발
  • · 장기 노출시 피부염, 각막훼손 등 유발 가능성, 동물실험에서 간독성, 태아에 기형유발 가능성 보고

(6) 스티렌

  • · 단기노출시 눈, 피부, 코, 호흡기 자극(84,000 ㎍/㎥), 고농도(200,000 ㎍/㎥) 마취증상 유발
  • · 장기노출시 신경계, 신장, 폐, 간에 영향
  • · EPA에 의해 발암성 C등급(가능한 인체발암물질)으로 분류

3) 초미세먼지(PM2.5)

· 입자의 직경이 2.5㎛ 이하 먼지로 주로 자동차 매연과 공장굴뚝에서 배출되나 복사기 및 프린터에서도 발생
· 흡입하면 폐에 염증을 일으키거나 심근경색 유발

실내공기 오염 제어 유형

4) 중금속

  • · 프린터 출력시에 배출되는 분진 중에 납, 수은, 크롬, 카드뮴 등 함유 가능
  • · 식품오염을 통해 다량 섭식되기도 하지만, 분진에 의해 흡입되기도 함
  • · 납, 카드뮴, 수은, 크롬 등은 인간에게 중독장해를 일으키기 쉽고 독성도 강함
    • - 납 : 만성독성으로 납이 뼈에 침착하여 골수에 영향
    • - 카드뮴 : 이타이이타이병이 대표적인 예로 골연화증, 신장장해 유발
    • - 수은 : 미나마타병이 대표적인 예로 중추신경장해인 Hunter-Russell 증후군(손발의 저림, 운동장해, 시야 좁아짐 등)
    • - 6가크롬 : 암발생을 증가시키고, 접촉부위에 부식이 강해 비점막천공 등 유발
  • · 프린터는‘전기ㆍ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에 의해 2008년 1월부터 납, 수은, 6가크롬 등은 0.1% 미만, 카드뮴은 0.01% 미만으로 규정

작성 및 감수 : 보건복지부_대한의학회_대한직업환경의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