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안면홍조

진단

폐경 후 안면홍조가 수시로 발생한다면 폐경에 의한 안면홍조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자궁적출을 하여 생리를 하지 않는 여성에서 안면홍조가 있는 경우는 호르몬검사를 통해 폐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약물에 의한 안면홍조는 새로 약을 처방받아 복용하면서 시작되었거나, 약을 복용할 때마다 수 시간에 걸쳐 안면홍조가 발생하며 땀(발한)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특정 질환으로 약을 복용 중이고 약물에 의한 안면홍조가 의심될 때에는 의사에게 복용 중인 약 중에 안면홍조를 유발할 수 있는 약제가 포함되어 있는지 물어보고, 가능성 있는 약물이 들어있다면 상의한 후 중단하거나 다른 약으로 대체하고 증상이 사라지는지 관찰하면 됩니다.

유암종은 안면홍조 외에 설사, 복통, 천식발작과 같은 임상적인 증상을 동반하며, 특정 음식이나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 배변, 자세 변화에 따라 안면홍조가 유발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 밖에 음식의 종류나 온도, 식품첨가물, 알코올, 자외선,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와 같이 어떤 상황에서 안면홍조가 생기거나 완화되는지, 빈도와 지속시간, 동반 증상이나 특징 등을 2주간 일기로 작성해보는 것은 안면홍조의 원인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면홍조의 모양과 색이 어떤지, 청색증이 있는지, 홍조가 얼룩덜룩하거나 융합된 모양으로 나타나는지, 홍조가 생긴 후 창백해지는지, 홍조와 함께 붉은 빛깔의 얼룩점(홍반)이나 피부가 솟아 올라오는 구진, 고름물집, 혈관확장증과 같은 다른 피부병변이 동반되는지 등을 살펴보고, 증상이 심할 때는 사진 촬영을 해 두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작성 및 감수: 질병관리본부_대한의학회_대한가정의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