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귀의 통증 및 분비물

치료

효과적인 귀 통증의 치료를 위해서는 원인 질환과 상황에 맞게 치료해야 합니다(해당 질환 정보 참조). 외이도염의 경우에는 외이도의 청결을 유지하도록 하고 염증 부위에 연고를 바르거나 필요한 경우 항생제를 복용할 수도 있습니다. 급성 중이염인 경우 원인균과 상태에 따라 항생제 치료를 해야 합니다. 편도염, 인두염, 부비동염이 있으면 적절한 항생제, 대상포진에는 항바이러스제, 혀에 하얀 반점이 생기는 아구창이나 칸디다증과 같은 곰팡이(진균) 감염에는 항진균제, 식도염이나 위식도 역류 질환에는 위산 분비 억제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근육통이나 신경통에 의한 귀 통증이 의심될 경우에는 진통소염제, 근육이완제를 복용하고, 2주 후 증상 변화를 평가합니다.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귀 통증의 절반 정도는 자연 소실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여러 검사를 통해서도 뚜렷한 귀 통증의 원인을 찾을 수 없다면 진통소염제(NSAIDs) 복용 후 경과를 지켜보는 것도 가능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치료로도 증상 호전이 없으면 종양 등 흔치 않은 질환에 의한 귀 통증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2~3주간 치료를 해도 귀 통증이 좋아지지 않는다면, 1,2차성 귀 통증의 원인 질환을 찾기 위해 보다 정밀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비인후과 외에도 치아 문제, 턱관절 장애 치료를 위해 치과나 구강악안면외과, 위식도 역류증 치료를 위해 소화기내과, 신경통의 치료를 위해 신경과, 관절 질환 진단과 치료를 위해 류마티스 내과, 통증을 일으키는 신경차단 치료를 위해 마취통증의학과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작성 및 감수: 질병관리본부_대한의학회_대한가정의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