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망막박리

분류, 원인 및 발병기전

망막박리는 발생기전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망막이 파열된 부분을 통해 유리체강 내 액체가 망막 하로 들어가 망막색소상피세포층을 분리하여 박리가 생기면 열공망막박리라 하고, 여러 원인에 의한 유리체망막 섬유증식막이 망막을 끌어당겨 망막색소상피세포층으로부터 떨어지는 경우를 견인망막박리라고 합니다.

또한 망막색소상피세포와 혈액망막장벽의 이상을 초래하는 망막과 맥락막의 여러 상황으로 인하여 망막 하에 액체가 고여 생기는 것을 삼출망막박리라고 합니다.

망막박리의 원인 및 발병기전으로는 가장 먼저 유리체박리가 있습니다.

유리체 겔은 나이를 먹음에 따라 차차 액화가 일어나 유리체강 내 응축된 섬유들로 둘러싸인 공간을 형성하며 이는 나이가 들수록 더 진행합니다.

유리체액화가 증가하면 원래 망막과 면하여 있던 유리체가 그 자리에서 떨어져 유리체박리를 일으키며, 이는 후극에서 먼저 시작되어 주변으로 차차 진행하여 대개 유리체 기저까지 이르게 되는데 박리되면서 유리체망막유착이 있는 부위, 즉, 유리체기저의 뒤 경계부와 안저의 다른 부위가 견인되면 그 자리에 망막열공이 생깁니다.

두 번째로는 망막 열공이 있는데, 이는 액화된 유리체가 이를 통해 망막 하로 이동하여 망막박리를 일으키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망막박리를 유발시키는 망막열공(retinal break)은 원공(hole), 해리(dialysis), 열공(tear)을 들 수 있습니다.

근시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특히 고도근시에서의 망막박리의 발생빈도는 그렇지 않은 눈에 비해 높습니다.

그 밖에 망막박리를 일으키는 요인들 중 일부는 유전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망막의 변성 역시 망막박리를 일으키는 요인인데, 유리체박리 후 생긴 유리체망막 견인으로 변성의 뒤와 옆 가장자리에서 망막열공이 발생합니다. 눈의 외상 역시 망막 박리의 중요한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망막박리의 발생기전
유리체, 액화된 유리체, 망막에 열공(찢어짐 발생), 액화된 유리체가 흘러 들어 망막이 박리됨.
*견인망막박리
-안구내 섬유조직에 의한 견인
*삼출망막박리
-삼출액에 의한 박리된 망막
보건복지부,대한의학회 제공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안과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