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동상

동상의 초기대처 및 응급처치

1. 초기대처법

  • 환자를 추운 환경 원인으로부터 따뜻한 환경으로 옮깁니다.
  • 젖은 의복을 벗기고, 따뜻한 담요로 몸 전체를 감싸줍니다.
  • 동상치료의 기본원리는 혈관을 이완시켜 혈액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세포 사이의 결빙을 풀어 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런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면 어느 방법이나 치료법이 될 수 있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동상부위를 즉시 38~42℃ 정도의 따뜻한 물에 20~40분간 담그는 것입니다.
  • 따뜻한 물을 보충해 가면서 물이 식지 않도록 합니다. 38℃ 이하의 온도에서는 얼은 부분이 잘 녹지 않습니다. 온도계가 없으면 구조자의 팔 안쪽에 물을 떨어뜨리거나 팔꿈치를 물에 담가보아 물이 뜨거운지 확인합니다.
  • 귀나 얼굴의 동상은 따뜻한 물수건을 대주고 자주 갈아줍니다.
  • 소독된 마른 가제(거즈)를 발가락과 손가락 사이에 끼워 습기를 제거하고,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합니다.
  • 동상 부위를 약간 높게 해서 통증과 부종을 줄여 줍니다.
  • 병원에 이송할 때 환자는 들것으로 운반합니다. 다리에 동상이 걸리면 녹고 난 후에도 걸어서는 안 됩니다.
  • 통증 완화를 위해 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신속히 병원으로 이송합니다.

동상의 초기대처법
1. 환자를 추운 환경으로부터 따뜻한 환경을 옮김
2. 젖은 의복을 벗기고, 따뜻한 담요로 몸 전체를 감싸줌
3. 혈액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세포 사이의 결빙을 풀어 주기 위해 동상부위를 즉시 38~42도 정도의 따뜻한 물에 20~40분간 담금
4. 따뜻한 물을 보충해 가면서 물이 식지 않도록 함
5. 귀나 얼굴의 동상은 따뜻한 물수건을 대주고 자주 갈아줌
6. 소독된 마른 가제(거즈)를 발가락과 손가락 사이에 끼워 습기를 제거하고,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함
7. 동상 부위를 약간 높게 해서 통증과 부종을 줄여 줌
8. 환자 운반시에는 환자가 걷지 않도록 들것을 사용
9. 통증 완화를 위해 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음
10. 신속히 병원으로 이송
보건복지부,대한의학회 제공

2. 주의사항

  • 43℃ 이상의 뜨거운 물에 동상 부위를 담글 경우 오히려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습니다.
  • 38℃ 이하의 물은 동상 부위를 효과적으로 빨리 녹일 수 없습니다.
  • 수포(물집)는 터뜨리지 않습니다.
  • 동상 부위는 문지르거나 마사지 하지 않습니다. 문지르면 얼음 결정이 세포를 파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얼음이나 눈으로 문지르지 않습니다.
  • 동상 부위를 불 위에 올리거나, 전기담요, 뜨거운 물 주전자, 난로, 전등, 라디에이터 또는 배기 가스관에 대는 식의 직접 열을 가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과도한 열을 발생시키어 자칫 화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환자에게 절대로 술을 주어선 안 됩니다. 술을 마시면 혈관 확장에 의해 몸의 열이 방출되어 오히려 저체온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환자에게 절대로 담배를 피우게 해서는 안 됩니다. 담배는 혈관 수축을 일으키고, 혈액 순환을 방해합니다.

3. 약물처치 및 병원에서의 처치

  • 통증조절을 위해 진통제를 투여합니다.
  • 개방상처가 있을 경우 항생제를 투여합니다.
  • 파상풍 예방 조치를 합니다.
  • 해빙되는 부위를 보호합니다. 체온이 돌아온 1시간에서 며칠 사이에 발생하는 물집은 감염 소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터뜨리지 않습니다.
  • 동상 걸린 손가락이나 발가락 사이에 멸균된 거즈나 솜을 끼워 물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합니다.
  • 동상부위는 감염이 되기 쉽기 때문에 드레싱을 바꿀 때 철저하게 무균술을 지키도록 합니다.
  • 부종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상부위를 높여 줍니다.
  • 부수적인 손상이 있는지 반드시 전신 검진을 합니다. (연조직손상, 탈수, 알코올성 혼수, 골절)
  • 전해질 균형을 회복합니다. 탈수와 저체액증 등이 동상환자에게 흔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회전욕조(whirlpool)에 동상을 입은 사지를 담급니다. 이는 혈액순환과 죽은 조직 제거를 도우며 감염 예방을 돕기 위해서 입니다.
  • 가피(딱지)절제술은 더 이상의 조직손상을 막고 정상 순환을 하게 하여 관절의 움직임을 가능케 하고자 필요한 경우 시행합니다.
  • 근막 절개술은 근육, 신경, 혈관 등에 가해지는 압력완화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시행합니다.
  • 동상부위를 1시간마다 움직이도록 하여 기능회복을 최대화하고 위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합니다.
  • 합병증 모니터를 위해 임상검사(혈액검사, 소변검사)를 실시합니다.

4. 예방

예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추운 외부환경으로부터 노출된 신체의 보호입니다. 그러기 위해 항상 노출된 신체를 따뜻하고 건조하게 유지해야 하며 한 자세를 오랜 시간 취하지 말고 운동을 해야 합니다. 따뜻하고 건조한 외복을 가능한 여러 겹 착용하고 옷감은 방풍기능이 있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젖은 옷과 양말, 신발은 건조한 것으로 갈아입고 신어야 합니다.
추운 야외 활동을 할 때는 여벌의 양말과 장갑, 신발 깔창을 준비하는 것이 좋겠고 웅크린 자세나 꽉 끼는 옷, 장시간 서 있는 것, 흡연, 음주, 진정제 복용은 주의를 해야 합니다.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응급의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