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후두개염

치료와 합병증

1. 치료

병의 진행을 가까이 관찰하면서 기관 절개 또는 기도 삽관과 같은 응급조치를 적절한 시기에 해 주어야 사망률과 합병증을 줄일 수 있으므로, 급성 후두개염이 의심되면 반드시 입원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호흡 곤란에 상관없이 급성 후두개염이 일단 의심되면 처음부터 비기도 삽관(nasotracheal intubation)이나 필요 시에는 기관절개를 권장하기도 합니다.
환자가 흥분하게 되면 기도폐쇄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기도가 확보되기 전까지는 환자에게 아픈 시술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적절한 항생제를 빠른 시간 내에 투여하고 검사 결과에 따라 적어도 7-10일을 사용합니다. 기도 삽관이나 기관 절개는 후두개의 염증과 경련이 소실되고 환자가 가래를 잘 배출할 수 있을 때까지는 유지하며, 가능하면 수일 내에 제거하도록 합니다. 삽관 후에는 언제나 X-선 검사를 하여 종격동기종, 기흉 또는 무기폐 등의 합병증이 일어나지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급성 후두개염 환자와 긴밀하게 접촉한 사람들 중 아래와 같은 경우에 해당한다면 리팜핀 예방요법을 받아야 합니다.

  • 나이가 48개월 미만이면서 뇌수막염 접종을 완료하지 않은 경우
  • 나이가 12개월 미만이면서 예방접종을 맞지 않은 경우
  • 면역결핍 아동

2.합병증

후두개염은 침범 부위가 국소적이지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환자의 상태가 심각해지기 전에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면 대부분 2-3일 내에 호전되며 큰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그렇지 못한 경우 후두개염의 사망률은 6%에 이릅니다. 그 외에도 폐렴, 경부 림프절염, 중이염, 드물게는 뇌수막염, 관절염 등의 합병증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 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