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부비동염은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질환이지만, 다행히 그 합병증은 매우 드물고 항생제의 발달과 더불어 점차 감소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콧속공간과 부비동은 두개골의 아랫부분과 안와와 맞닿아 있기 때문에 이 부위까지 감염이 확산되면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비부비동염이 의심될 때에는 의사의 지시에 따는 적절한 치료를 꼭 받아야 합니다.
합병증은 급성과 만성 비부비동염에서 모두 일어날 수 있으나, 급성 비부비동염에서 더 잘 생깁니다.
부비동 중에서 전두동, 사골동, 접형동은 두개강과 얇은 뼈를 사이에 두고 접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부위의 비부비동염은 염증이 뇌척수액으로 퍼져 뇌수막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만약 감염이 뇌로 확산 되면 농양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뇌농양이 발생하면 생명이 위험하므로 항경련제, 항생제의 투여와 농양의 제거 등의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게 됩니다. 일단 뇌농양이 발생하면 사망률이 10%나 되며, 1/3정도에서는 후유증을 남길 수 있습니다.
전두동, 상악동, 사골동, 접형동은 각각 눈의 위, 아래, 사이, 그리고 뒤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위치의 비부비동염은 염증이 안와로 퍼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눈 주위가 붓고 빨갛게 되는 안와주위염이 생길 수 있고, 안와 내부에 농양을 형성하는 안와농양까지 생길 수 있습니다. 안와 내 합병증은 80%이상이 항생제에 잘 반응하는 안와 주위염입니다. 그러나 안와 농양이 발생하면 시력 소실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머리 안에 있는 커다란 정맥인 해면정맥굴은 접형동과 인접하여 있어 이 부위의 부비동염에 의해 뇌동맥류나 해면정맥동에 감염성 혈전이 생기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일단 안와 내 합병증이 유발되면, 항생제 치료를 통하여 감염의 원인이 된 부비동과 안와를 함께 치료해야 하며, 농양이 발생한 경우에는 수술적 배농도 필요하게 됩니다.
비부비동염이 발생 시 주변의 뼈와 골수로 염증이 파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골이 파괴되어 연달아 앞서 기술한 두개내 합병증이나 안와 내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