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
1. 예방을 위한 감시 방법
아직까지 영아급사증후군이 일어날 아기를 미리 발견하여 조기에 치료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심장 및 호흡에 대한 감시를 미리 하거나 자율신경계의 이상을 진단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들은 많이 시행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생아에게 심전도를 선별검사로 실시하는 것도 영아급사증후군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지는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영아급사증후군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
다음에 소개하는 영아급사증후군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방법은 미국소아과학회의 지침을 참고한 것입니다.
이러한 방법은 대체적으로 거의 모든 아기에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각 국가나 가정의 풍습에 따라 다르게 적용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아기의 성향에 따라 다른 방법을 사용하거나 적절히 변화를 줄 필요가 있습니다.
- ① 미숙아뿐만 아니라 만삭으로 태어난 아기도 반드시 천정을 보는 자세로 똑바로 줍혀서 재우세요. 현재까지는 똑바로 눕혀 재우는 것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나쁜 점은 없습니다.또한 아기를 옆으로 세워 재우는 것(모로 재우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 ② 아기는 혼자 별도의 공간에서 재우지 말고 부모와 같은 방에서 재우세요. 그러나 부모와 한 이불을 덮지 말고, 아기만 따로 재우되 침대를 부모 가까이에 두세요.
- ③ 아기를 재우는 요나 이불은 너무 부드럽지 않고 약간 딱딱한 것이 좋습니다.
- ④ 아기가 잠자는 장소에는 질감이 너무 부드러운 베개, 쿠션, 커다란 인형 등을 두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⑤ 실내온도를 너무 덥지 않도록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아기를 포대기로 단단히 싸놓는 풍습이 있습니다만, 되도록이면 가볍게 입히고 실내온도를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⑥ 아기가 깨어있을 때에는, 일정시간 동안 엎어서 눕혀 놓는 것이 필요합니다. 엎어서 놀게하는 것은 뒤통수가 너무 편평해지거나, 한족으로 치우져 비뚤어지는 것을 예방합니다. 물로 아기를 엎어서 놀게 할 경우에는 반드시 어른이 눈길을 떼지 말아야 합니다.
- ⑦ 시중에 유통되는 '아기의 수면자세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거나 영아급사증후군을 예방한다'는 제품들은 일반적으로 추천되지 않습니다. (미국 소아과 학회의 권고사항입니다.)
- ⑧ 가정 내에서 아기의 맥발, 호흡 및 산소포화도를 감시하는 기계를 사용하는 것은 아기의 상태에 따라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심장 기형이 심해 호흡이 불안정한 아기에게는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이러한 기계를 일반 영아에게 사용하는 것이 영아급사증후군을 예방한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추천되지 않습니다.
- ⑨ 수면시간이나 낮잠을 잘 때 노리개 젖꼭지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다만 중요한 것은 잠자는 시간에만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아기가 잠이 들어 노리개 젖꼭지를 떨어뜨린 이후에는 다시 입안에 넣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모유 수유를 하는 아기에게는 아기가 모유수유에 완전히 익숙해진 이후에 노리개 젖꼭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⑩ 산모는 임신이 되면서부터 금연을 하여야 합니다. 또한, 동거하는 모든 가족들은 산모나 아기가 있는 실내에서는 금연을 하여야 합니다.
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이러한 추천사항은 단지 현재 아기를 임신하고 있거나, 육아중인 가정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닙니다.
어린이 집이나 유치원에 근무하는 선생님들, 베이비시터, 조부모님,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사람 등은 영아급사증후군에 관한 내용을 잘 이해하고,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