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형 유방증 자체는 사춘기의 일시적인 현상 혹은 나이가 들면서 노화의 일종으로 발생하므로 아직은 확실한 예방법이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만이나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음식섭취, 패스트푸드 등이 청소년기의 여성형 유방증의 위험요인이라는 연구들이 많이 있으므로 식이요법과 적당한 운동으로 적정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사춘기 여성형 유방증은 여성호르몬과 남성호르몬의 일시적인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1-2년 지나면 자연히 소실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을 필요는 없고 만일 일상생활에 불편한 점이 있는 경우 부모님과 상의해서 전문의사와 상의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노령층에서 발생한 경우는 반드시 전문의의 검진을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약물이 그렇듯이 여성형 유방증 치료제 또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반드시 전문의의 처방이 필요하고 임의로 약국에서 근거 불명의 호르몬 약제를 처방받아 투약하는 경우 걷잡을 수 없는 불행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약물치료는 특별한 환자에 있어 일시적인 치료법이 될 수는 있지만, 여성형 유방증의 진행을 막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결국 수술이 가장 근본적인 치료법입니다.
상처부위 소독은 병원 스케줄에 맞추어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주셔야 합니다. 보통의 경우에는 수술 후 3일과 1주 및 3주 후에 병원을 방문하시게 됩니다.
수술 후 당일에 퇴원이 가능하며, 48시간 이내에 일상 업무 복귀가 가능합니다. 수술 후 1주일 동안은 무거운 것을 들지 않으며 과도한 팔 운동을 삼가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수술 후 2주까지는 주야간 밴드를 착용하고 이후 2주 동안은 야간에만 밴드를 착용하게 되며, 수술 후 4주가 되면 팔을 쓰거나 힘을 주는 모든 과격한 운동이 가능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