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심폐소생술

기본 심폐소생술 시행순서

심폐소생술(성인/청소년)

심폐소생술(영유아)

1. 반응 및 호흡 확인

환자에게 접근하기 전에 구조자는 현장상황이 안전한지를 우선 확인하여, 안전하다고 판단되면 환자에게 다가가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괜찮으세요?”라고 물어봅니다. 이때 환자의 반응은 있으나 진료가 필요한 상태이면 119에 연락을 한 다음 환자의 상태를 자주 확인하면서 응급의료상담원의 지시를 따릅니다.

그림. 반응 및 호흡 확인/구조 요청: 반응 및 호흡 확인 후 구조요청 합니다 (환자를 잡고 지나치게 흔들 경우 목뼈와 척수를 다칠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한편, 환자의 반응은 없으나 호흡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다면, 119에 연락을 한 다음 환자를 옆으로 눕히고, 환자의 한쪽 팔을 머리 밑으로 받쳐주는 자세를 취하게 함으로써, 숨쉬는 길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 주어야 합니다. 이 자세를 회복 자세라고 부릅니다.

그림. 회복자세(환자를 옆으로 눕히고 한쪽 팔을 머리 밑으로 받쳐줌 - 이물질이 기도에 들어가지 않도록 예방!) 제공 : 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만약 환자가 반응이 없고, 호흡이 없거나 심정지 호흡처럼 비정상적인 호흡을 보인다면 심정지 상태로 판단합니다. 특히, 심정지 호흡은 심정지 환자에게서 첫 수 분간 흔하게 나타나는데, 호흡의 빈도가 적으면서 하품을 하듯이 깊게 숨을 들이쉬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흔합니다. 이러한 심정지 호흡의 징후를 놓치게 되면, 심정지 환자의 생존 가능성은 낮아지게 됩니다.

반응이 없는 환자가 정상적인 호흡을 보이지 않는 경우는 이미 심정지가 강하게 의심되는 상황이므로 추가로 맥박을 확인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2. 구조 요청

심정지 상태가 의심된다면 바로 119에 신고를 합니다. 만약 신고자가 자동 제세동기 교육을 받은 사람이고 주변에 자동 제세동기가 있다면 즉시 가져와 사용하며, 이후 순서에 따라 심폐소생술을 시행합니다. 이때 두 명 이상이 현장에 있다면 한 명은 심폐소생술을 시작하면서, 동시에 다른 한 명은 119 신고와 자동제세동기를 가져 오는 역할을 맡도록 합니다.

119에 신고할 때 응급의료상담원은 발생 장소와 상황, 환자의 수와 상태, 필요한 도움 등에 대해 질문할 것입니다. 구조자가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적이 없거나 심폐소생술 시행에 자신이 없다면, 응급의료상담원의 지시를 따라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구조자는 응급의료상담원이 전화를 끊어도 된다고 할 때까지 전화지시를 따르며 심폐소생술을 계속합니다.

3. 가슴 압박

구조를 요청한 후 가장 먼저 시행해야 하는 것은 가슴압박이며, 효과적인 가슴압박은 심폐소생술 동안 심장과 뇌로 충분한 혈류를 전달하기 위한 필수적 요소입니다.

먼저, 가슴의 중앙인 흉골의 아래쪽 절반 부위에 한 쪽 손꿈치를 대고, 다른 한 손을 그 위에 포개어 깍지를 낍니다. 구조자의 팔꿈치를 곧게 펴고, 구조자의 체중이 실리도록 환자의 가슴과 구조자의 팔이 수직이 되도록 합니다. 가슴압박을 효과적으로 하려면 강하게 규칙적으로, 그리고 빠르게 압박해야 합니다. 성인 심정지의 경우 가슴압박의 속도는 적어도 분당 100회 이상을 유지해야 하지만 분당 120회를 넘지 않아야 하고, 압박 깊이는 5cm와 6cm 사이를 유지합니다. 또한 가슴압박 이후 다음 압박을 위한 혈류가 심장으로 충분히 채워지도록 각각의 압박 이후 가슴의 이완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그림. 가슴 압박 : 소아 흉부 압박의 경우 한손 흉부 압박법을 씁니다. 영아(1세 미만) 흉부 압박의 경우 두 손가락을 이용한 흉부 압박법을 씁니다 제공 : 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소아 및 영, 유아의 경우 성인과 체구가 다르므로, 한 손만을 이용한 가슴 압박이나 두 개의 손가락을 이용한 가슴 압박을 시행합니다.

한 사람이 가슴 압박을 계속하면 가슴 압박의 깊이가 얕아지기 때문에, 가능하면 매 2분마다 가슴 압박을 교대해 주어 구조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양질의 심폐소생술을 제공해야 합니다.

4. 기도 열기

1) 머리 젖히기-턱들기법

의식이 없는 환자의 경우 혀가 뒤로 말리면서 기도가 막힐 수 있으므로, 환자의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들어주어서 기도를 열어주어야 합니다.

2) 턱들기법

목뼈가 부러지는 손상을 이미 받았을 가능성이 높은 사고 환자의 경우 손상을 증가시키지 않기 위하여 머리를 뒤로 젖혀서는 안 되며, 턱만 살며시 들어주어서 기도를 열어주어야 합니다.

그림. 기도 열기(의식이 없는 환자는 혀가 뒤로 말리면서 기도가 막힐 수 있음. → 머리를 젖힘 : 머리 젖히기 턱들기법) 제공 : 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5. 인공 호흡

2011년 심폐소생술 지침에서의 중요한 변화는 인공호흡을 하기 전에 가슴압박을 우선적으로 시행할 것을 권장한 것입니다. 가슴압박을 우선하는 심폐소생술 순서는 가슴압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가슴압박을 신속히 시작하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인공호흡 또한 심폐소생술에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심폐소생술 순서에서 가슴압박을 우선순위로 하고 있지만, 효율적인 인공호흡은 심정지 환자의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먼저 기도를 연 상태에서 2회의 인공 호흡을 실시합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구강 대 구강 호흡법으로 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머리 젖히기-턱 들기법’으로 기도를 열어준 상태에서 환자의 입을 벌려줍니다.

머리를 젖힌 손의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환자의 코를 막고, 자신의 입을 환자의 입에 밀착 시킵니다. 이 때, 영아의 경우는 구조자의 입으로 아이의 입과 코를 한꺼번에 막고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한쪽 눈으로 환자의 가슴을 주시하면서, 환자의 가슴이 팽창해 올라올 정도로 공기를 서서히(1~2초) 불어 넣습니다.

입을 떼고 환자의 입에서 불어 넣었던 공기가 다시 배출될 수 있도록 합니다.
같은 방법으로 1회 더 인공 호흡을 시행합니다.

인공 호흡이 실패하는 가장 흔한 원인은 기도가 잘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 인공 호흡을 시도하기 때문입니다. 만일 첫 번째 인공 호흡을 시도했는데 환자의 가슴이 팽창되지 않는다면, 두 번째는 머리 젖히기-턱 들기를 정확히 다시 한 다음에 시도합니다.

그림. 인공 호흡: 1. 머리 젖히기 - 턱 들기법 상태 2. 환자의 코를 막음 3. 환자의 가슴이 올라올 정도로 서서히(1~2초) 공기를 불어 넣음 4. 저절로 공기가 배출되게 함. 1세 이하 영아의 경우 구조자의 입으로 아이의 입과 코를 한꺼번에 막고 시행할 수도 있음

6. 가슴 압박과 인공 호흡의 반복

119 구조대 혹은 전문 구조자가 도착할 때까지 "가슴 압박 30회 : 인공 호흡 2회"의 비율로 심폐소생술을 계속합니다.

만일 자동 제세동기를 사용할 줄 알고, 119 구조대 혹은 전문 구조자보다 자동 제세동기가 현장에 먼저 도착하면 자동 제세동기를 사용합니다.

일반인 구조자에 의한 심폐소생술 순서 : 반응이 없는 환자 발견(무호흡 또는 비정상호흡(심정지 호흡) 하면 119신고 및 자동제세동기 요청함.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는 경우 심폐소생술 시작(가슴압박: 인공호흡 30:2 반복), 심폐소생술을 할 수 없는 경우 가슴압박 소생술 실시함, 자동제세동기 도착하면 자동제세동기 사용함, 심장 리듬 분석하여 제세동 필요한지 아닌지 확인하여 제세동 불필요하면 2분간 심폐소생술 실시, 제세동 필요하면 다시 제세동 실시 후 2분간 심폐소생술 실시함

7. 가슴 압박 소생술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적이 없거나, 받았더라도 자신이 없는 경우, 혹은 인공 호흡에 대해 거부감을 가진 경우에는 심폐소생술을 시도조차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인공 호흡을 하지 않고 가슴 압박만 하더라도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적이 없거나,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신감이 없는 일반인은 인공 호흡 과정을 생략하고 가슴 압박만 하는 ‘가슴 압박 소생술’을 하도록 권장합니다.

그러나, 물에 빠짐, 약물 중독 등으로 인한 질식성 심정지이거나, 심정지로부터 시간이 많이 경과한 경우에는 가슴 압박과 더불어 반드시 인공 호흡을 시행해야 합니다.

작성 및 감수 : 보건복지부_대한의학회_대한응급의학회 ※ 최종 업데이트일 : 2013.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