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러보르덴-슈파츠 증후군은 추체외회로 신경계의 진행적인 변성(신경변성질환)과 치매 증상이 특징인 희귀 유전 신경 운동 질환입니다. 상염색체 열성의 유전 양상을 보이며, 원인 유전자는 PANK2 유전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할러보르덴-슈파츠 증후군을 가진 모든 개인에게서 공통적인 특징은 진행성의 운동 질환과 더불어 뇌에서의 철(iron)침착입니다. 환자들은 오랜 기간 안정기에 있다가 곧 빠르게 악화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증상들은 가족 사이에서도 유전적인 원인들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환자들마다 매우 다릅니다. 증상의 차이와 경중에 따라 이 질환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들이 다를 것으로 예상되며, 같은 유전자 내에서도 다른 돌연변이가 있을 가능성도 많습니다.
공통적인 특징들은 근육긴장이상, 근육 경직, 갑작스런 불수의근 강직(Spasticity)이며, 이런 특징들은 둔함(Clumsiness),
보행 문제, 운동 조절의 어려움과 언어 문제를 야기합니다. 다른 공통적인 특징들은 진행성 야맹증을 유발하는 망막변성과 주변 시야(Peripheral vision)의 상실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증상들은 진행성의 경과를 보입니다.
이 질환은 과거 할러보르덴-슈파츠 증후군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뇌에 철 침착을 가진 신경변성 1형(Neurodegeneration with Brain Iron Accumulation Type 1)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뇌에 철 침착을 가진 신경변성(NBIA)‘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할러보르덴-슈파츠 증후군 뿐 아니라 이 범주에 넣어진 모든 질병을 포괄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발견된 뇌에 철 침착을 가진 신경변성의 가장 큰 세부 그룹은 신경변성과 연관된 판토테네이트 카이네이즈(Pantothenate Kinase Associated Neurodegeneration; PKAN)입니다. 이것은 PANK2 유전자의 결함으로 야기되며, 판토테네이트 카이네이즈 효소의 결핍이 원인입니다.
이 질환은 남녀 모두 비슷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증상은 전형적으로 20세 미만의 아동기-청소년기 동안에 발병되지만, 간혹 성인기에 시작되기도 합니다.
유병률은 일반인구 100만 명 당 1-3명 사이로 알려져 있습니다. 할러보든-슈파쯔 병은 희귀하기 때문에, 이 질환이 진단되지 않거나 오진될 수도 있어 정확한 유병률을 결정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할러보르덴-슈파츠 증후군을 가진 개인들은 종종 뇌의 특정 부분에 철의 비정상적인 침착을 가집니다. 이것은 특히 기저핵(Basal ganglia) 부위에서 보입니다.
PKAN(신경변성과 연관된 판토테네이트 카이네이즈)은 상염색체 열성 양상을 나타냅니다.
PKAN(신경변성과 연관된 판토테네이트 카이네이즈)은 20번 염색체의 PANK2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합니다(20p13-p12.3). 이 유전자는 판토네테이트 카이네이즈 효소를 암호화 합니다. 최근에는 어떻게 이 효소의 부재가 어떻게 특징적인 철의 침착 및 뇌 신경의 손상을 일으키는지 연구 중입니다.
증상은 환자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추체외로계 운동증상과 보행장애로 나타나는데, 추체외로계 운동증상으로는 무도무정위운동, 강직, 진전(tremor), 근육긴장이상, 서동증(slowness of movement)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무도무정위운동(Choreoathetosis)은 불수의적으로 빠르고, 경련성 운동이 특징인 질환으로, 상대적으로 느리고 무정위운동(Athetosis)과
함께 나타납니다. 팔과 다리에 강직(Spasticity)이 나타날 수 있고, 비정상적으로 근 경직(Muscular rigidity)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강직과 근 경직은 보통 하지에서 시작되고 이후에 상지에서 발생합니다. 궁극적으로 자발적인 운동의 조절을 상실할 수 있으며,
근육 연축(Muscle spasm)은 뼈의 강도를 감소시켜 골절을 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근육긴장 이상은 구강과 인후의 근육에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해 발음의 저하, 말더듬증, 삼킴곤란(dysphagia)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근육긴장이상의 눈꺼풀연축(Blepharospasm)과 사경(기운목:Torticollis)을 포함한 특정 형태가 할러보든-슈파쯔 병과 동반될
수 있습니다. 눈꺼풀연축은 눈꺼풀의 근육이 적절하게 기능하지 않는 것으로 과도하게 깜빡이거나, 불수의적으로 눈이 감기게 됩니다. 사경은
목 근육들의 불수의적인 수축으로 머리나 목의 비정상적인 운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일부에서 인지기능의 저하도 나타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운동 기술 발달이 지연됩니다. 지능장애가 과거에 종종 질병의 일부분으로 알려졌지만,
이것이 실제 특징인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일부의 환자에서는 환청, 망상, 불안 및 우울 등의 정신과적 증상도 보고된 바 있습니다.
PKAN(신경변성과 연관된 판토테네이트 카이네이즈) 돌연변이와 연관된 증상과 신체적 소견들은 전형적(classical)인 경우와 비정형(atypical)
경우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전형적(classical)인 경우 증상이 더 빠르게 진행됩니다. 보통 비정형(atypical)인 경우에는 병의
경과가 느리게 진행됩니다. 증상과 신체적인 소견들은 사례마다 모두 다릅니다.
할러보르덴-슈파츠 증후군의 진단은 세부적인 환자의 가족력, 임상 증상, 특수화된 다양한 검사를 통해 할 수 있습니다. 뇌 MRI에 의한 진단이 특징적인데, MRI는 뇌의 특정 부분(기저핵)에 특징적인 철의 침착을 보여줍니다. 또한 PKAN(신경변성과 연관된 판토테네이트 카이네이즈)과
비-PKAN을 구분 짓는데 유용하며, 또한 어떤 가족이 PKAN으로 DNA 검사를 해야 하는지에 관해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PKAN(신경변성과 연관된 판토테네이트 카이네이즈)을 가진 개인들은 “호랑이 눈(eye-of-the-tiger)”라 불리는 특징적인 징후를
가집니다.
아직까지 할러보르덴-슈파츠 증후군을 완치하는 치료는 없습니다. 치료는 각각의 개인에서 특이하게 나타나는 증상들에 대한 대증적인 치료입니다. 대증적 요법으로 약물치료를 통하여 근육긴장이상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드물게 수술적 치료가 시행되기도 합니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이 질환의 원인에 관해 이해하는데 집중되어 있으며, 이는 결국 좀 더 포괄적인 치료 방법을 찾는데 도움을 주게 될 것입니다. 치료는
전문가 팀의 협동적인 노력을 필요로 하는데, 지지요법(Supportive therapy)을 위한 팀 접근 방법은 물리치료, 운동치료, 직업치료와
언어치료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많은 가족들은 유전상담을 통해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