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영양실조성 당뇨(병)

1. 개요

질환주요정보

  • 관련질환명 : Malnutrition-Related Fulminant Type 1 Diabetes (영양실조성 전격성 제 1형 당뇨병) 섬유결석형 췌장성 당뇨병, 단백질 결핍형 췌장성 당뇨병
  • 영향부위 : 췌장
  • 증상 : 고혈당, 요당, 반복적인 복통 및 췌장 결석
  • 원인 : 영양 부족 특히 단백질 부족
  • 진단 : 복부 초음파나 전산화 단층촬영, 복부 단순촬영, 혈당검사
  • 치료 : 인슐린 투여, 식이요법
  • 산정특례코드 :
  • 의료비지원 : 미지원

2. 정의

1970년대까지 당뇨병은 인슐린 의존형, 인슐린비의존형과 이차성 당뇨병으로 분류했지만, 1985년부터 세계보건기구의 당뇨병 전문의원회에서 인슐린 요구형(영양 실조형) 당뇨병을 추가시켰습니다. 인슐린의존형과 인슐린 요구형 당뇨병의 차이는 생명유지를 위하여 인슐린의 필요한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투여하지 않으면 나타나지만, 이것이 더 진행되면 급성 당뇨병성 혼수에 당뇨병의 심한 증상이 빠져서 생명이 위독하게 되는 것이고, 영양실조형 당뇨병은 혈당 조절에 인슐린이 필요하지만 인슐린을 투여하지 않아도 생명이 위독하게 되지는 않습니다. 인슐린비의존형 당뇨병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인슐린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1990년 중반 5년간 연세대 의대 세브란스 병원에서 통계 자료로 조사한 결과 1266예의 당뇨병 환자 가운데 인슐린의존형(1형)이 2.3%, 요구형(영양실조형)이 6.6%, 인슐린비의존형(2형)이 91.9%로 나타났습니다.

저체중인 사람 중 채식위주로 인한 영양결핍에 걸린 적이 있는 사람에게, 주로 15-20세 청소년에게, 잘 발병합니다.

인슐린 요구형(영양실조형)당뇨병은 주로 열대지역의 개발도상국에서 발견되나 우리나라에서도 심심찮게 볼 수 있는 당뇨병의 형태입니다. 영양부족, 성장기의 단백질 결핍이 당뇨병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섬유결석성 췌장성 당뇨병과 단백질 결핍형 췌장성 당뇨병 두 가지로 나뉩니다.

3. 원인

영양 부족 특히 태아기나 출생 후 성장기의 단백질 결핍이 당뇨병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영양 부족이 당뇨병을 유발하는 3 가지 가설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영양실조가 오랫동안 지속되면 췌장 의 인슐린을 분비하는 베타세포에 손상을 주어 당뇨병이 발생합니다.
  • - 유전과 환경인자설로, 당뇨병의 소질을 타고난 사람이 영양이 불량하면 당뇨병에 걸립니다.
  • - 영양이 부족하면 바이러스나 음식물에 포함된 독소가 베타세포에 쉽게 손상을 주어 당뇨병이 유발됩니다.

이렇게 유발된 당뇨병의 발생기전은 첫째 염증반응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혈관구조가 손상을 받음으로써 섬유조직으로 둘러싸인 췌도에서 혈액공급이 부족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둘째로는 이런 환자들에서 당뇨병이 외분비 췌장의 부전이 나타날 때 발생하는 점으로 미루어 췌장 부전으로 인한 장에서의 흡수장애가 포도당 의존성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인크레틴 분비 감소를 가져와서 결과적으로는 췌도에서 인슐린분비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4. 증상

당뇨, 반복적인 복통 및 췌장 결석이 특징적입니다. 주로 15-20세의 청소년기에 발병하며 영양 결핍과 저체중을 보입니다. 중등도 이상의 심한 고혈당을 보이지만 인슐린 주사를 맞지 않아도 케톤산혈증을 잘 일으키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질환을 가진 환자의 췌장에서 나타나는 조직학적 소견은 만성 췌장염과 동일하나 만성 알코올성 췌장염과는 달리 주로 30대 이전에 발병하고 소아기의 영양결핍과 관련이 있습니다.

영양실조성 당뇨병의 증상 : 당뇨, 췌장결석, 반복적인 복통

5. 진단

특징적인 병력 및 복부 단순촬영상 석회화가 보이고 췌장 결석이 보이면서 알코올 섭취 등의 만성 췌장염을 일으킬 만한 원인이 없는데도 초음파나 전산화 단층촬영상 만성 췌장염의 소견이 있습니다.

이들의 외분비 췌장의 대부분은 소실되고 췌도는 보존되지만 섬유조직에 둘러싸여 존재하며 알파세포의 소실에 비하여 베타세포의 소실이 큽니다.

1) 섬유결석형 췌장성 당뇨병

췌관의 석회화가 광범위하고 복부 X선 촬영에서 결석을 확인함으로써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2) 단백질 결핍형 췌장성 당뇨병

좀 더 젊은 연령에서 발병하고 결석은 드뭅니다.

산정특례 진단기준 : 이 질환은 산정특례 대상 질환이 아닙니다.


6. 치료

환자의 약 80%에서 인슐린 투여가 필요하고 나머지에서는 경구 혈당 강하제나 식이요법만으로도 혈당조절이 가능한데 이는 C-peptide 분비능과 관계됩니다. 인슐린 요구량이 평균 40단위 정도로 하루 200단위 이상의 인슐린을 필요로 하는 인슐린 저항성을 보이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7. 기타정보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조정구, 장명규, 손성식, 송승렬, 유광현, 박명선. 영양실조성 당뇨병 2 예 (Two Cases of Malnutrition - Related Diabetes Mellitu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1994 ; 46 (2) : p.245~252
2. 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학 3판. 고려의학. 2005. 08
3. 이종민, 손현식, 차봉연, 이광우, 손호영, 강성구 등. 영양실조성 당뇨병 및 만성재발성 췌장염에 의한 당뇨병 각 1 예 (Case of report on diabetes mellitus caused bu Malnutrition-related diabetes mellitus and chronic relapsing pancretitis) 대한당뇨병학회 1992 년 16 권 4 호
4. 홍창의 소아과학 제 10판
5. Nelson's Text book of pediatrics 20th edition

작성 및 감수 : 국립보건연구원_대한의학회_대한소아내분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