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정도의 여성 뇌전증환자에서 생리기간 중에 뇌전증발작이 증가하는데, 이는 생리기간중의 여성호르몬의 양이 바뀌게 되기 때문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생리기간에 체내 뇌전증약 농도가 감소되어 발작빈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향이 있는 환자는 생리기간 중 특별히 최상의 건강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치료를 뇌전증전문의와 상의하여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생리기간에만 항뇌전증약을 추가로 복용하기도 합니다.
한편, 뇌전증약이 여성호르몬의 작용을 줄이거나, 여성호르몬의 혈중 농도를 감소시키기도 하여 월경이상. 남성호르몬 과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이
나타날 수가 있습니다. 다낭성 난소증후군은 불규칙한 생리주기, 체모 증가, 난소의 모양 변화를 초래하게 됩니다. 이러한 다낭성 난소증후군이
일반인은 4-6% 정도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뇌전증약을 복용하지 않는 측두엽 뇌전증 환자에서 10-25% 존재하여 특정 뇌전증 발작 자체와
관계가 되어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 외에도 혈중 황체호르몬의 저하로 인한 무월경, 불임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일반인에 비해 높습니다. 이러한 이상을 보일 때는 부작용이
적은 다른 약으로 바꾸거나 항뇌전증약을 중단함으로써 이전 월경상태와 정상호르몬 수치로 회복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항뇌전증약을 복용하는 경우
주기적으로 체모가 증가하는지, 생리주기나 양은 일정한지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뇌전증환자로 뇌전증약을 복용하는 여성은 월경, 임신기능 이상에
대해 의사와 주기적인 상담이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호르몬 혈액검사. 난소초음파, 뇌영상검사 시행이 도움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편 상당수의 항뇌전증약은 피임약의 분해와 배설을 촉진하게 되어 피임 효과를 감소시켜서 피임을 실패할 가능성을 높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항뇌전증약을 복용하지 않는 사람보다 더 많은 용량의 피임약을 복용하거나, 콘돔과 같은 피임방법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뇌전증을 가진 여성들의 대부분은 정상 임신과 정상아기를 출산할 수 있습니다. 항뇌전증약을 복용하지 않은 정상 산모에게서 태아의 기형이 나타날
확률은 약 2~3%로 추정되고 있으며, 항뇌전증약을 복용하는 경우에는 이 확률이 2~3배 정도 증가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항뇌전증약을
복용하는 여성은 임신에 대한 적절한 계획과 뇌전증 치료계획이 꼭 필요합니다. 항뇌전증약을 복용하고 있는 산모는 태아의 기형을 발견하기 위해
적절한 산전검사를 받아야 하는데 이것은 정밀 초음파와 혈액검사를 통해서 찾아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양수검사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이미 복용하고 있는 뇌전증약을 최소화 시키고, 되도록 태아의 기형발생을 줄일수 있는 약제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합니다. 또한 임신 및 출산
과정에서 엽산과 비타민 K를 보충해야 하며, 출산 후 수유 등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를 뇌전증 전문 치료진과 미리 상의 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뇌전증을 갖고 있는 산모는 되도록 신경과 전문의의 자문이 가능한 병원에서 출산할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한편, 임신 중인 뇌전증환자의 약 1/3에서는 뇌전증발작 빈도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임신 중 생리적 심리적 변화가 발작빈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물론이고 성호르몬농도의 변화, 뇌전증약 대사의 변화, 수면부족 등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임신 중 항뇌전증약 복용이 태아에 미칠 영향을 두려워해 스스로 항뇌전증약 중단하는 경우도 있어, 발작증가의 한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전신대발작이 발생할 경우 산모와 태아에게 저산소증과 산증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는 질식상태와 같습니다. 따라서 임신한 뇌전증 환자는 자의로 약을 조절하거나 다른 약을 복용하지 말고, 꼭 신경과 전문의 산부인과 전문의와 충분히 상의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진통 중에도 뇌전증산모의 1-2% 에서 대발작을 경험합니다. 이 경우 반드시 제왕절개술을 받을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진통 중 반복적인 발작이 있다거나 연속적인 발작이 있는 경우에는 응급제왕절개술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