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다발골수종

다발골수종의 진단

1. 다발골수종의 진단방법

[2009년 국제 다발골수종연구그룹 (The International Myeloma Working Group, IMWG) 진단기준]

예외사항을 제외하고 3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 클론성 골수 형질세포≥10%
  • 혈청과/혹은 소변 단클론 단백 존재 (진성 비분비성 다발골수종 제외)
  • 형질세포 증식으로 인한 장기 손상의 증거, 특히
    ㄱ. 고칼슘혈증
    혈청 칼슘≥11.5mg/100ml 혹은
    ㄴ. 신부전
    혈청 크레아티닌>1.73mmol/l
    ㄷ. 빈혈
    정상색소성, 정상적혈구성 헤모글로빈 수치>2g/100ml 정상 이하거나 헤모글로빈 수치<10g/100ml
    ㄹ. 골병변
    용해성 병변, 심한 골감소 혹은 병적 골절

다발골수종의 진단은 골수내 형질세포의 증가, 골용해 소견, 소변 혹은 혈액내 단클론성단백(M-단백)이 발견되고 빈혈 및 신장이상의 소견을 보이면 진단할 수 있습니다. 혈액검사로 빈혈, 백혈구, 혈소판, 칼슘, 그리고 신장기능을 나타내는 혈청 크레아틴 수치를 확인합니다.

1) 골수 검사 또는 형질세포종생검

동그란 모양을 한 골수형성이상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의 골수를  현미경으로 보고 있는 의사 삽화, 보건복지부/대한의학회 제공

2) 말초혈액 도말검사

정상적혈구와 정상백혈구, 연전 현상이 나타난 다발 골수종의 말초혈액 도말검사를 하고 있는 의사 삽화, 보건복지부/대한의학회 제공다발골수종의 말초혈액 도말검사소견

3) 뼈의 X선 검사

다발골수종 환자의 두개골 x선 이미지, 보건복지부/대한의학회 제공

(1) M-단백(Monoclonal protein, 단클론성 단백)분석

M-단백은 악성화한 형질세포에서 생산되는 비정상적 단백질(면역글로블린)로 혈액내에 축적되거나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M-단백은 한 종류의 면역글로블린 중쇄와 한 종류의 경쇄로 구성됩니다. 중쇄에는 면역글로블린G (IgG), 면역글로블린A (IgA), 면역글로블린 M (IgM)이 있고 경쇄에는 카파, 람다가 있습니다. M-단백은 전기영동법 (eletrophoresis)으로 정상 면역글로블린과 구별이 가능합니다. 다발골수종 환자의 98~99%에서 M-단백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있습니다.

양성 단클론감마글로불린병증 (MGUS)은 혈청 내 M-단백 증가를 보이기는 하나 양이 많지 않으며, 임상적으로는 악성의 증거가 없는 질환으로 대개는 치료를 요하지 않으며, 약 25%에서 악성으로 전환이 되어 진행되는 경과를 관찰 해야 하는 질환입니다.

다발골수종과 M-단백

4)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다발 골수종 환자의 양전자단층촬영(PET) 모습과 촬영된 사진 삽화, 보건복지부/대한의학회 제공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검사를 통해 골수종의 침범 위치를 알 수 있으며, 특히 골수외병변이나 예상하지 못했던 부위의 골병변을 찾아내는데 도움이 됩니다.

2. 다발골수종의 감별진단

다발골수종은 형질세포증식 질환으로 악성림프종, 일차성 전신아밀로이드증, 발덴스트롬 마크로글로불린혈증, 포엠스 증후군 등과 유사한 임상양상 및 검사 소견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3. 다발골수종의 진행단계

다발골수종의 진행 정도는 국제병기분류 (International Staging System, ISS, 표)가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혈청 β2-마이크로글로블린과 알부민 치에 따라서 병기를 1, 2, 3기로 나누며, 병기를 나누는 것은 병기에 따라 예상되는 생존기간에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표. 국제병기분류 (International Staging System, ISS)
표. 국제병기분류 (International Staging System, ISS)
1기: 혈청 β2-마이크로글로블린 혈청 알부민
2기: 1기와 3기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3기: 혈청 β2-마이크로글로블린

작성 및 감수 : 국가암정보센터_대한의학회_대한내과학회(혈액종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