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청신경초종

치료

1. 청신경초종의 치료방법

청신경초종은 완전 적출로 완치가 가능한 양성 종양입니다. 뇌간 및 소뇌의 손상 없이 완전 제거가 가능하지만 환자의 나이와 전신상태, 증상의 정도, 종양의 크기와 위치, 수술에 따른 위험성 및 합병증을 고려하여 수술 외에 방사선수술이나 보존적인 경과 관찰 등의 방법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1) 수술

환자의 증상이 점진적으로 악화되고 있거나 추적관찰시 종양이 성장하고 있고, 뇌간압박증상이 있는 경우 수술을 고려하는데 종양의 크기와 위치, 환자상태 등에 따라 수술 접근법이 달라지게 됩니다. 수술 후에도 청력의 회복이 어렵고 오히려 악화되는 경우도 많지만 최근에는 작은 종양을 제거한 경우에는 청력을 보존할 수 있기도 합니다. 수술 후 당분간은 현기증 등의 전정증상이 일어날 수도 있지만 이보다 문제가 되는 것은 안면신경마비입니다. 청신경과 안면신경은 서로 접하고 있어 수술 전에 안면신경 마비가 없었더라도 고도의 마비가 초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회복이 안되면 나중에 안면신경의 재건수술이 필요하게 됩니다.

2) 방사선 수술

다량의 방사선을 일시에 청신경초종 부위에 조사함으로써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종양의 괴사를 유도하는 방사선 수술이 최근에 좋은 결과를 얻고 있습니다.

  • 감마나이프
    이 치료법은 종양의 위치를 3차원적으로 측정한 후 종양에 집중할 수 있는 방사선의 양과 조사 형태를 결정하고, 1~2시간의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시술입니다. 이 방법은 전신상태가 수술을 시행하기 어려운 환자나 적출술 후 재발한 경우, 크기가 작은 종양에 대해서 시행하고 있으며 청력 보존 및 안면신경 보존률도 높아 청신경초종의 치료에 있어서 수술과 더불어 좋은 치료법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선형가속기
    평면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조준기를 통하여 여러 각도에서 X선을 조사함으로써 병변의 3차원적 모양에 따라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 치료장치입니다.

3) 보존적인 경과 관찰

주기적으로 추적하면서 경과를 관찰하는 방법으로 자기공명영상(MRI) 추적관찰로 종양이 성장하지 않으며 증상의 진전이 없는 경우와 전신상태가 불량하여 수술 위험도가 높은 환자의 경우, 또는 한쪽 청력만 있는 귀에 종양이 생겨 수술 후 완전히 청력이 소실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적용 할 수 있습니다.

2. 청신경초종 치료의 부작용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안면마비, 청력감소 등의 제7 과 8 뇌신경의 손상과 관련된 것이 가장 흔하며, 수술부위의 출혈, 경막하 출혈, 소뇌와 뇌간 경색, 하위 뇌신경마비에 의한 흡인성 폐렴, 뇌막염, 뇌척수액 누공, 삼차신경 손상, 뇌교 손상 등이 있습니다. 수술중 안면신경의 손상이 있을 경우에는 안면신경에 대한 원위부와 근위부를 연결시켜 주는 문합술을 시행하고, 호전이 없으면 수술 후 일 년 정도 기다려본 후 설하신경 또는 부신경과의 문합술을 시행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3. 청신경초종의 재발 및 전이

청신경초종 수술의 사망률은 0.5~1% 정도인데, 그 원인은 크기가 큰 종양의 수술 후 출혈과 소뇌 및 뇌간 경색 그리고 하위신경마비에 의한 흡인성 폐렴 등 입니다. 수술 후 재발률은 0.5~0.8% 정도입니다.

4. 청신경초종의 치료현황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의 종양 조절율은 90~95%로 알려져 있으며, 방사선수술 후 안면신경이나 3차 신경의 손상이 오는 경우는 약 1~5% 정도입니다. 또한 방사선수술 전 청력이 있었던 경우 청력이 보존되는 비율은 약 50~70%에 이르며, 5년 추적 결과 안면신경의 기능이 79%, 삼차 신경의 기능이 73%에서 보존되었고, 51%의 환자에서 청력이 유지되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그리고 청신경초종은 연간 종양 성장 속도는 약 3.2 mm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5. 생활가이드

1) 청신경초종 환자의 일상생활

현기증이나 운동 실조, 평형기능 장애로 인한 신체 손상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편안하고 안전한 환경이 필요하며, 평상시의 대처활동을 사정하여 그 방법을 지지하도록 합니다. 보행이 힘들 때에는 보조기구를 이용하며, 청력감퇴나 난청 등으로 의사소통이 어려울 경우에는 보청기나 종이와 연필, 또는 흑판이나 지울수 있는 칠판을 제공하도록 합니다. 또한 혼동, 동공반응 감소, 의식수준 감소 등의 두 내강 내압 상승의 징후가 있거나 상태가 악화되면 즉시 병원에 오도록 합니다.

2) 청신경초종 환자의 식생활

충분한 칼로리를 소비하고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것이 중요하며, 소량씩 음식을 자주 먹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치즈, 닭고기, 육류, 두부, 어류, 콩 등의 고단백질 음식을 선택하여 먹기 쉽도록 자르고 부수어 조각낸 상태로 먹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드물지만 연하곤란이 발생되면 하루 5~10회 혀를 운동함으로써 음식을 삼키는 일을 더 수월하게 할 수 있습니다. 혀의 운동 방법은 가능한 입을 크게 벌리거나 높게 혀를 올리며, 혀의 뒷면을 멀리 끌어올리는 것입니다. 또한 연하곤란 시 환자의 자세는 상체를 위로 올린 상태로 유지시키며, 환자가 의식이 없을 경우에는 환자의 머리를 15~30도 정도로 높이고, 옆으로 돌려주어서 흡인을 방지해야 합니다.

작성 및 감수 : 국가암정보센터_대한의학회_대한신경외과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