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골다공증

분류

골다공증은 노화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일차성 골다공증과 여러 질환 및 약물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차성 골다공증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일차성 골다공증

일반적으로 자연적인 노화와 연관되어 폐경 여성에서 발생되는 1) 폐경 후 골다공증과 2) 노인성 골다공증이 일차성 골다공증에 속합니다.

우리 몸의 뼈는 청소년기를 거쳐 초기 성년기까지 일생 중에서 가장 튼튼한 뼈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최대 골량’이라고 합니다. 최대 골량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유전적 성향입니다. 그 외에도 청소년기 동안의 신체 활동과 칼슘 섭취도 최대 골량 형성에 기여하게 됩니다.
또한 성장 호르몬, 갑상선 호르몬, 성 호르몬과 같은 호르몬의 영향도 받습니다. 최대 골량에 이른 후에는 연령이 증가됨에 따라 뼈의 양은 점차 줄어들게 됩니다. 여성의 경우에 폐경에 의한 여성 호르몬 감소는 급격한 뼈의 감소를 초래하게 됩니다. 따라서 폐경이 되면 5-10년 내에 급격하게 뼈가 약해지게 됩니다.

남성은 여성과 달리 명백한 폐경이 없기 때문에 골다공증의 발생이 훨씬 적습니다. 남성의 경우는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장에서 칼슘의 섭취가 적어지고 뼈 생성도 감소하기 때문에 골다공증이 발생됩니다.

그림. 최대 골량의 형성과 나이에 따른 뼈의 감소. 남성과 여성 모두 동일하게 0~30세까지는 뼈의 양이 점차 증가하여, 남녀 모두 30세에 최대 뼈의 양을 기록하고 30세를 기점으로 점차 감소하기 시작한다. 여성은 폐경기를 맞는 50세부터 뼈의 양이 급격하게 감소하여 60세에 골절역치에 도달하여 점차 감소하는 반면, 남성의 경우 90세가 다 되어서야 골절역치 밑으로 뼈의 양이 감소한다.

2. 이차성 골다공증

이차성 골다공증은 최대 골량의 형성과 뼈의 감소에 영향을 끼친 다음 질병이나 약물에 의하여 골다공증이 발생되는 경우입니다.

1) 약물

  • 부신 피질 호르몬(스테로이드)
  • 항경련제
  • 과량의 갑상선호르몬
  • 항암제

2) 내분비 질환

  • 제 1형 당뇨병
  • 부갑상선기능항진증(부갑상선 호르몬의 증가로 뼈의 파괴가 증가)
  • 쿠싱증후군(부신피질호르몬이 증가되는 질병)
  • 갑상선기능항진증(갑상선호르몬 증가)
  • 성호르몬의 결핍

3) 소화기 질환

  • 흡수 장애, 위절제술

4) 류마티스 질환

5) 만성 신부전

6) 호흡기 질환

7) 악성 종양

8) 장기 이식

9) 유전 질환

10) 기타

  • 장기간 활동저하
  • 과도한 음주, 흡연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내과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