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척수소뇌성 실조증(Spinocerebellar ataxia ; SCA)

관련질환명으로 Machodo-Joseph disease(Machodo-Joseph disease), Huntingtons disease(Huntingtons disease), Dentatorubral pallidoluysian atrophy(DRPLA)(Dentatorubral pallidoluysian atrophy(DRPLA))가 있음. 영향부위는 체내의 신경이며, 증상으로 간대성근경련, 간질, 말초신경병, 운동실조, 진전, 치매가 있음. 원인은 유전자 결함으로 인한 변형 단백질의 생성과 이로 인한 핵내 침착으로 인한 신경세포의 기능장애 및 세포사멸임. 진단법으로 임상증상에 대한 병력청취 및 가족력, 뇌 MRI, 유전자 검사가 있음. 치료법으로 완치법은 없으며, 대증요법(약물요법 및 재확치료)가 이용됨. 의료비는 지원되지 않음.

1. 개요

척수소뇌성 실조증(spinocerebellar ataxia: SCA)은 주로 염색체 삼핵산반복서열의 확장으로 발생하는 퇴행성 신경계 질환으로 임상적으로 소뇌성 조화운동 불능증을 특징으로 합니다. 최근 유전학적 검사가 발전하면서 척수 소뇌성 실조증의 원인 유전자가 여러 가지 발견되었으며, 각 발견된 유전자에 따라 번호를 부여하여 척수소뇌성 실조증 1형, 2형, 3형 등으로 명명되며 현재 40형 이상이 명명되어 있습니다. 일부 척수소뇌성 실조증 아형은 특징적인 임상 양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삼핵산 반복서열질환

척수소뇌실조증

우리나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발생빈도 순서를 보면, 척수소뇌성 실조증 3형, 척수소뇌성 실조증 2형, 척수소뇌성 실조증 6형, 척수소뇌성 실조증 1형, 척수소뇌성 실조증 7형 순으로 보고되었습니다.

2. 원인

척수소뇌성 실조증(spinocerebellar ataxia; SCA)중 1, 2, 3, 6, 7, 8, 12, 17형은 삼핵산인 CAG 반복서열의 확장으로 발병하는 질환으로 밝혀졌으며, 나머지는 다른 유전자 이상으로 인하여 발생하거나 아직 그 원인이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최근 분자 유전학의 발달에 힘입어 임상적으로 척수 소뇌 실조증이 의심되는 환자들의 확진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지만 다양한 유전적 및 임상적 이질성으로 적어도 20% 정도의 환자에서는 유전학적 원인이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다음은 척수소뇌성 실조증 환자의 각 소그룹 마다 유전학적 이상을 나타낸 표입니다.

척수소뇌성 실조증이 원인  유전자 이름 SCA19의 염색체 위치는 1p21-q21이며, 유전자 이름 SCA22의 염색체 위치는 1p21-q21, 유전자 이름 SCA25의 염색체 위치는 2p15-21, 유전자 이름 SCA15의 염색체 위치는 3p24.2-pter, 유전자 이름 SCA7의 염색체 위치는 3p21.1-p12, 유전자 이름 SCA1의 염색체 위치는 6p23, 유전자 이름 SCA17의 염색체 위치는 6q27, 유전자 이름 SCA21의 염색체 위치는 7p21-p15, 유전자 이름 SCA18의 염색체 위치는 7p22-q32, 유전자 이름 SCA16의 염색체 위치는 8q22.1-q24.1이다. 유전자 이름 SCA5의 염색체 위치는 11p11-q11이며, 유전자 이름 DRPLA의 염색체 위치는 12p13.31, 유전자 이름 SCA2의 염색체 위치는 12p24, 유전자 이름 SCA8의 염색체 위치는 13q21, 유전자 이름 SCA3의 염색체 위치는 14q24.3-q31, 유전자 이름 SCA14의 염색체 위치는 19q13.4-qter, 유전자 이름 SCA11의 염색체 위치는 15q14-q21.3이다. 유전자 이름 SCA4의 염색체 위치는 16q22.1이며, 유전자 이름 SCA6의 염색체 위치는 19q13, 유전자 이름 SCA13의 염색체 위치는 19q13.3-q13.4, 유전자 이름 SCA23의 염색체 위치는 20p, 유전자 이름 SCA10의 염색체 위치는 22q13이다.

3. 증상

척수소뇌성 실조증(spinocerebellar ataxia; SCA)은 주로 20세에서 30세에 첫 증상이 발생하며, 척수소뇌성 실조증 6형은 비교적 늦은 연령인 40세에서 50세에 첫 증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각각의 척수소뇌성 실조증마다 특징적인 임상양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척수소뇌성 실조증 1형은 시신경 위축과 근육긴장저하 소견이, 2형은 안구의 느린 단속운동, 심부건반사 저하를, 3형은 안검후퇴(lid retraction)와 근긴장이상 증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납니다. 척수소뇌성 실조증 7형에서는 황반변성이 특징적이며, 12형의 경우에는 본태성 떨림과 유사한 떨림증이 특징입니다. 그 밖의 SCA 유전형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표현형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습니다.

척수 소뇌 실조증의 임상적 증상  질병 분류 SCA1의 평균 발병 연령은 37(4~74)세이며, 임상증상으로 운동실조 , 구음장애, 안구진탕, 안구운동 마비 경직, 느린 도속운동(확보기), 수행기능장애가 있음.  질병분류 SCA2의 평균 발병 연령은 32(1~65)세이며, 임상증상으로 운동실조, 구음장애, 느린 홱보기, 반사저하, 비틀거림, 치매, 드물게 파킨슨 증상이 있음. 질병분류 SCA3의 평균 발병 연령은 36(5~70)세이며, 임상증상으로 운동실조, 구음장애, 안구진탕, 복시, 안면부 근육다발수축, 근육간장이상, 파킨슨증상, 하지불안증이 있음.질병분류 SCA4의 평균 발병 연령은 ?(19~72)세이며, 임상증상으로 운동실조, 구음장애, 감각축돌기 신경병증, 피라미드 증후가 있음. 질병분류 SCA5의 평균 발병 연령은 30(16~68)세이며, 임상증상으로 운동실조, 구음장애, 정상 수명, 조기 증상 발현, 숨뇌증상이 있음. 질병분류 SCA6의 평균 발병 연령은 52(30~71)세이며, 임상증상으로 운동실조, 구음장애, 안구진탕, 정상수명, 복시, 피라미드 증후가 있음. 질병분류 SCA7의 평균 발병 연령은 35(0~70)세이며, 임상증상으로 운동실조, 구음장애, 망막색소변성, 느린 홱보기, 피라미드 증후가 있음. 질병분류 SCA8의 평균 발병 연령은 40(1~73)세이며, 임상증상으로 운동실조, 구음장애, 안구진탕, 진전이 있음. 질병분류 SCA10의 평균 발병 연령은 36(26~45)세이며, 임상증상으로 운동실조, 구음장애, 안구진탕, 간질이 있음. 질병분류 SCA12의 평균 발병 연령은 25(15~43)세이며, 임상증상으로는 운동실조, 구음장애, 안구진탕, 정상수명, 과다반사가 있음. 질병분류 SCA13의 평균 발병 연령은 35(8~55)세이며, 임상증상으로 운동실조, 안구진탕, 진전, 운동완만, 과다반사가 있음. 질병분류 SCA14의 평균 발병 연령은 유아기(1~45)이며, 임상증상으로 운동실조, 구음장애, 안구진탕, 과다반사, 정신지체, 느린 병의 진행이 있음. 질병분류 SAC15의 평균 발병 연령은 27(12~42)세이며, 임상증상으로 운동실조, 머리떨림 혹은 근육간대경련이 있음. 질병분류 SAC16의 평균 발병 연령은 26(10~50)세이며, 임상증상으로 운동실조, 구음장애, 안구진탕, 정상수명, 과다반사가 있음. 질병분류 SCA17의 평균 발병 연령은 40(20~66)세이며, 임상증상으로 운동실조, 구음장애, 안구진탕, 정상수명, 머리떨림이 있음. 질병분류 SCA18의 평균 발병 연령은 33(6~48)세이며, 임상증상으로는 운동실조, 구음장애, 치매를 동반한 안구진탕, 느린 홱보기, 간질, 과다반사, 운동불능, 근육간장이상, 무도증, 정신병이 있음. 질병분류 SCA19의 평균 발병 연령은 15(12~25)세이며, 임상증상으로 운동실조, 안구진탕, 감각-운동 축돌기 신경병증, 바빈스키 증후가 있음. 질병분류 SCA21의 평균 발병 연령은 34(11~45)이며, 임상증상으로 경한 운동실조, 구음장애, 안구진탕, 인지기능장애, 근육간대경련, 진전, 반사저하, 과다반사가 있음. 질병분류 SAC22의 평균 발병 연령은 18(7~30)세이며, 임상증상으로 운동실조, 구음장애, 운동불능, 경직, 진전, 반사저하, 인지기능장애가 있음. 질병분류 SAC25의 평균 발병 연령은 ?(10~46)세이며, 임상증상으로 운동실조, 구음장애, 안구진탕, 감각신경병증이 있음. 질병분류 SCA의 평균 발병 연령은 ?(1~39)세이며, 임상증상으로 운동실조, 구음장애, 안구진탕, 감각신경병증이 있음. 질병분류 FGF14의 평균 발병 연령은 34(27~40)세이며, 임상증상으로 운동실조, 구음장애, 안구진탕, 진전, 정신병이 있음. 질병분류 DRPLA의 평균 발병 연령은 30(0~30)세이며, 임상증상으로 운동실조, 근육간대경련, 간질, 치매, 정신병, 무도무정위운동이 있음.

4. 진단

척수소뇌 실조증을 감별하기 위해 점검해야 할 여러 가지 사항 및 필요한 검사방법이 있습니다. 우선 자세한 병력 청취가 필요한데 특히 알코올 중독 여부, 약물 복용력이나 가족력에 대해 자세히 확인해야 합니다. 원인이 될 수 있는 대사성 질환을 감별하기 위해 갑상선 기능 검사, 부갑상선 기능 검사, 혈중 암모니아 농도, 혈당, 비타민 농도 검사, 혈중 지질 농도 검사 등을 시행해야 합니다. 뇌종양 및 뇌혈관성 질환을 감별하기 위해 뇌자기공명영상(Brain MRI), 필요에 따라서는 양전자방출단층촬영 (PET) 등을 시행합니다.

산정특례 진단기준 표
산정특례 진단기준
이 질환은 산정특례 대상질환이 아닙니다.

5. 치료

척수소뇌 실조증의 경우 현재 적절한 치료방법이 없으며, 진행의 속도를 느리게 하는 치료 방법 역시 없는 실정입니다. 그러므로 치료는 조화운동불능에 대한 증상치료가 필요한데 아직 효과적인 약물은 개발되어 있지 않습니다.

단지 여러 가지 연구를 토대로 환자에게 시도해 볼 수 있는 보존적 치료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적절한 물리 치료가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약물 치료로는 아만타딘(amantadine)이 환자의 움직임에서의 운동 시간과 반응 시간을 호전시킨다는 연구 보고가 있으나 실제로 임상적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습니다. Thyrotropine releasing hormone(TRH)의 효과에 대한 보고도 있으나 이 또한 추가 연구에서 효과가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세로토닌(serotonin) 수용체가 소뇌 전반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세로토닌계 약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이중 선택적 세로토닌 1A 수용체 작용제인 buspirone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그 임상적 효과는 확실하지 않으나 고용량 투여에서 조화운동불능의 호전을 보았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그 외에도 physostigmine, N-acetylcystein, D-cycloserine, piracetam등에 대한 연구보고가 있으나 실제로 효과적인 약물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소뇌 떨림 증상에 대한 치료로 시상핵 중 전방간핵(ventral intermediate nucleus:VIM)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는 수술적 방법으로 소뇌 떨림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나 척수 소뇌 실조증에 대한 효과는 알려진 바 없습니다.

6. 기타정보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Rowland LP: Merritts Neurology. 10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2000.
2. Victor M and Ropper AH. Adams and vitors Principles of Neurology. 7th ed. New York, McGraw-Hill,2001.
3. Braunwald E, Fauci A, Kasper DL, Hauser SL, Longo DL, Jameson JL.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5th ed. New York: McGraw-Hill, 2001.
4. Abele M, Burk K, Scholos L, et al. The etiology of sporadic adult-onset ataxia. Brain 2002;125:961-68.
5. Ludger Schols, Peter Bauer, Thorsten Schmidt, Thorsten Schulte, and Olaf Riess. Autosomal dominant cerebellar ataxia: clinical features, genetics, and pathogenesis. Lancet Neurology 2004;3:291~304.
6. 이광우외: 신경과학 1st ed. 범문사 398~405p
7. http://www.mdausa.org
8. http://www.alsa.org
9. http://www.ncbi.nlm.nih.gov/entrez

작성 및 감수 : 국립보건연구원_대한의학회_대한신경과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