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격-시신경 형성이상은 주로 5세 이전의 영유아기에 주로 발견되며 시신경 형성부전, 뇌량이나 투명 중격 등의 중간선 뇌이상 및 뇌하수체 형성부전에 의한 뇌하수체기능저하증을 특징으로 하는 인구 10만 명당 2명 정도의 낮은 유병률을 갖는 매우 드문 질환입니다. 1956년 de Morsier에 의해 명명된 이후 de Morsiers syndrome으로도 불려지고 있습니다.
이 질환의 원인으로 HESX1 유전자 돌연변이가 알려져 있으나, 가족형 중에서도 일부에서만 발견되며, 대부분의 가족형 및 빈도가 많은 산발형에서는 아직 원인이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은 실정입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영유아기(1-8개월)에 안구 진탕, 시력 저하, 경련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 추가적인 방사선 검사 등을 통해 진단되지만 드물게 영유아기 이후에 성장지연이나 성발달지연, 요붕증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출생 초기의 황달, 저혈당증, (남아의 경우) 왜소 음경으로 신생아기에 진단되기도 합니다. 국내에서는 안과학회와 내분비학회에서 증례로 보고 된 바 있습니다.
이 질환의 원인은 중추 신경계 형성기의 발달 이상으로 추정되는데 중격-시신경 형성이상은 대부분의 경우 산발형으로 나타나지만 소수에서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의 형태를 보이기도 하며 일부에서는 상염색체 우성으로 나타납니다. 가족성으로 나타나는 경우 중 일부에서는 3번 염색체에 있는 호메오박스 유전자인 HESX1 돌연변이가 보고되고 있고 다른 원인으로 임신 당시 모체의 낮은 연령, 당뇨병의 병력, 임신 중 음주, 코카인, 항경련제 복용 등이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증상은 구개열, 합지증, 귀의 형성 장애, 양안 격리증, 시신경 위축, 왜소 고환, 무후각증 등의 임상증상과 함께 뇌하수체 기능부전으로 인한 요붕증, 성장호르몬 결핍, 저신장과 드물게 갑상선 자극호르몬 결핍을 보일 수 있습니다.
보통 유아기에 시력 저하, 안구진탕, 사시 등 안과적 증상이 가장 먼저 나타나는 경우가 흔하고 시력 장애의 정도는 거의 정상적인 시력에서부터 실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중격-시신경 형성이상에 있어서 시신경형성부전이 동반되는 빈도는 75%~80%로 보고되고 있으며 두 눈이 동시에 이환되는 경우가 더 흔하게 나타납니다.
중격 시신경 형성이상 환자에서 뇌갈림증 (schizencephaly)이 5~50%에서 함께 동반된다고 하며, 뇌갈림증의 약 1/3에서 시신경 발육부전이 동반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호르몬 이상은 약 2/3에서 관찰되는데 이 중 성장호르몬 결핍이 가장 흔하고 그 외 다른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의 결핍이나 중추성 요붕증이 함께 동반될 수 있습니다.
환자의 증상 및 병력을 청취하고 안과적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세극등 검사, 안저검사, 광간섭단층촬영 등을 시행합니다. 뇌 자기공명영상 촬영 등의 방사선 검사를 통해 뇌량의 형성부전 및 투명 중격 결손과 뇌하수체 전엽의 형성저하증과 뇌하수체 후엽의 이소성 위치 등을 관찰 할 수 있으며 유전자 검사도 함께 시행할 수 있습니다.
뇌하수체기능저하는 신생아기에 저혈당이나 경련, 2주 이상 지속되는 신생아 황달과 같은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후에는 성장호르몬의 결핍이 가장 많이 동반되기 때문에 저신장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흔합니다. 그 외 사춘기 지연, 요붕증 등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보고 되고 혈액검사나 복합 뇌하수체 자극 검사를 통해 호르몬 수치를 확인해야 합니다.
산정특례 진단기준 |
---|
이 질환은 산정특례 대상질환이 아닙니다. |
호르몬 치료로서 남성호르몬 결핍일 경우 테스토스테론 등 남성호르몬을 투여하고 여성 호르몬의 결핍일 경우는 마찬가지로 에스트로겐을 투여하며, 고프로락틴혈증일 경우 브로모크립틴 (bromocriptine) 등을 경구투여하고 성장호르몬의 결핍으로 인한 저신장일 경우 성장호르몬을 투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그 외 동반된 임상적 특징에 따라 치료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우선 사시의 교정, 저시력의 보조 등 안과적 문제 해결하고 뇌와 안구이상이 있을 경우 외과적 교정이 필요합니다. 요붕증이 동반된 경우 데스모프레신(desmopressin, 미니린, minirin) 등을 경구 투여합니다. 경련발작의 경우 페노바르비탈(phenobarbital), 발푸로익 산(valproic acid), 라모트리진(lamotrigin) 등 항경련제를 투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