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스미스-렘리-오피츠 증후군

1. 개요

질환주요정보

  • 관련질환명 : 스미스-램리-오피쯔 증후군(Smith Lemli Opitz Syndrome), DHCR7 유전자 이상(DHCR7 abnormality), 처음으로 발견된 세 명의 환자들 이름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든 약어 RSH증후군(RSH Syndrome)
  • 영향부위 : 체내 : 식도, 심장 / 체외 : 골격, 귀, 근육, 눈, 두개골, 입, 코
  • 증상 : 성장 지연, 작은 머리(소두증), 정신 지체, 심장기형, 다지증, 구개열(입천장 갈림증 : Cleft palate), 안검하수증, 백내장, 사시, 들창코, 작은 턱, 경련, 유눔협착증, 청력, 상실
  • 원인 : DHCR7 유전자의 변이,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
  • 진단 : 혈액검사, X-선검사, 전산화 단층 촬영술(CT), 자기공명영상(MRI), 분자유전학검사, 산전초음파검사
  • 치료 : 콜레스테롤의 보충(Choiesterol supplementation), 수술요법, 보청기, 유전상담
  • 산정특례코드 : V158
  • 의료비지원 : 지원

2. 정의

스미스-렘리-오피츠 증후군(SLOS)은 1964년에 스미스, 렘리, 오피츠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된 질환으로 처음으로 이 질환자로 보고된 환자 이름의 첫 글자를 따서 RSH 증후군이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스미스-렘리-오피츠 증후군은 유전질환이며, 이 질환은 출생 전과 후의 성장 지연, 작은 머리(소두증, Microcephaly), 정신 지체(경증∼중등도)가 특징적으로 나타납니다. 그 외 독특한 얼굴 생김새, 구개열(입천장 갈림증, Cleft palate), 심장 기형, 손가락 및 발가락 기형, 남성에서 외부 생식기의 발육부전 등 다양한 선천성 기형이 동반됩니다.

스미스-렘리-오피츠 증후군은 7-dehydrocholesterol reductase효소의 결함으로 콜레스테롤 대사에 이상이 생긴 질환으로 상염색체 열성 양식으로 유전됩니다. 질병의 심각한 정도는 다양하여 같은 가족에서조차도 일부는 정상 발달하고 미미한 출생 결함을 가지기도 합니다.

신생아 2~6만 명당 1명의 빈도로 나타나며 정확한 원인은 모르지만 북부 유럽의 백인에서 높은 발생률을 보입니다. 이 질환은 남녀에서 동등하게 일어나지만 여성은 생식기 이상을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종종 진단되지 못하거나 늦게 진단하게 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까지 3명의 환자가 보고되어 있습니다.

3. 원인

스미스-램리-오피츠 증후군은 콜레스테롤 대사에 관여하는 7-dehydrocholesterol reductase의 결함으로 콜레스테롤 대사에 이상이 생긴 질환입니다. 이 효소 부족 원인은 각각의 부모로부터 유전된 비정상적인 DHCR7 유전자 때문이며,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됩니다.

4. 증상

스미스-렘리-오피츠 증후군의 증상은 개개인의 경우에 따라 매우 다르게 나타납니다. 심한 경우에는 사산되거나 태어난 지 얼마 안 되어 사망할 수도 있습니다.

전형적으로 성장지연, 구개열(cleft palate), 작은 두상, 남자의 경우 외부 생식기의 발달 장애, 다지증, 정신지체, 두 번째와 세 번째 발가락의 합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얼굴에는 눈꺼풀이 아래로 쳐지는 안검하수증, 위 눈꺼풀의 일부가 눈의 안쪽을 덮는 내안각 주름(눈구석 주름), 백내장, 사시(strabismus), 들창코, 길고 ‘∧’ 모양인 윗입술, 작은 턱, 크고 아래쪽에 달린 귀, 잇몸의 이상 등의 특징이 보입니다.

그 외 심장의 선천성 기형 그리고 이로 인한 청색증과 호흡곤란, 심장잡음, 경련(seizure), 근긴장저하(hypotonia), 폐의 기형으로 인한 호흡기계 장애, 위장의 유문협착증(Pyloric stenosis), 빛에 민감한 광과민증(Photosensitivity), 청력 손실, 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스미스-렘리-오피츠 증후군 : 특징적 외모, 구개열, 손/발가락 기형, 외부생식기 발달장애(남자) - 보건복지부, 국립보건연구원, 대한의학회

5. 진단

1) 혈액검사

7-dehydrocholesterol(7-DHC)의 농도가 증가되어 있으며, 7-dehydrocholestero : cholesterol의 비율이 상승되어 있습니다. 정상 소아에서는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100mg/dl 이상이지만 이 질환을 가진 소아들은 100mg/dl 미만인 경우가 많습니다. 전해질, cortisol, 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 의 검사를 통해 부신 기능부전증과 감별진단 할 수 있습니다.

2) 분자유전학검사

DHCR7 유전자에 있는 돌연변이를 발견하기 위해서 분자유전학검사를 할 수 있으며, 이는 보인자 검사와 산전검사에 주로 사용됩니다.

3) 태아초음파검사

산전검사로 태아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스미스-렘리-오피츠 증후군으로 의심되는 신체적 특징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4) 영상검사

흉부 X-선 검사로 심장 및 폐에 이상이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뇌 전산화단층촬영(CT)나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로 뇌의 구조적 병변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신장 및 복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신장 기형 및 위장의 유문 협착증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산정특례 진단기준 : 분자유전학적 검사상 11번 염색체(11q12-q13)에 위치하는 DHCR7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확인

* 임상증상 : 성장 지연, 작은 머리(소두증), 정신 지체, 심장기형, 다지증, 구개열(입천장 갈림증: Cleft palate), 안검하수증, 백내장, 사시, 들창코, 작은 턱, 경련, 유문협착증, 청력 상실

* 진단방법 : 유전학 검사, 임상진단


6. 치료

스미스-렘리-오피츠 증후군의 치료는 환자들에게 나타나는 증상에 맞추어 치료를 진행합니다.

1) 콜레스테롤 보충

혈액 내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떨어져 있으므로 부족한 콜레스테롤을 공급하게 되면 체내 콜레스테롤이 증가하게 되고, 7-dehydrocholesterol(7DHC)의 농도는 떨어집니다. 이것은 논리적인 치료 접근 방법으로, 콜레스테롤의 정확한 효과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고 계속 연구 중에 있습니다.

콜레스테롤과 담즙산(Bile acid)과 함께 투여하기도 하고, 달걀 노른자와 같은 고콜레스테롤 식이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HMG-CoA reductase 억제제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치료제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약으로, 최근에 스미스-렘리-오피츠 증후군의 치료로 시도되고 있습니다. 스미스-렘리-오피츠 증후군에서 증가되어 있는 7-dehydrocholesterol(7DHC)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데 치료제의 목적이 있으며, 아직까지 장기적인 치료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는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3) 수술

수술로 구개열, 선천성 심장 기형, 외부 생식기 기형, 손가락 및 발가락 기형 등을 교정할 수 있습니다.

4) 기타

청각 장애가 있는 환자들은 보청기 등을 사용하여 청력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햇볕에 직접적으로 장기간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합니다.

환자와 가족에게 유전상담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7. 기타정보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Goodwin H, Brooks BP, Porter FD. Acute postnatal cataract formation in Smith-Lemli-Opitz syndrome. Am J Med Genet A. 2008 Jan 15
2. Jong Hee Chae , Ki Joong Kim , Yong Seung Hwang , Ki CS, Kim JW. Identification of a novel DHCR7 mutation in a Korean patient with Smith-Lemli-Opitz syndrome. J Child Neurol. 2007 Nov;22(11):1297-300.
3. Park MR, Ko JM, Cheon CK, Kim GH, Yoo HW. A case of Smith-Lemli-Opitz syndrome diagnosed by identification of mutations in the 7-dehydrocholesterol reductase (DHCR7) gene.Korean J Pediatr. 2008 Nov;51(11):1236-1240.
4. http://www.rarediseases.org
5. http://smithlemliopitz.org/
6. http://www.geneclinics.org/
7. http://www.ncbi.nlm.nih.gov/entrez/dispomim.cgi?id=270400
8. http://www.ncbi.nlm.nih.gov/books/NBK1143/
9.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949125-overview
10. http://www.rarediseasesnetwork.org/stair/SLOS/
11.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949125-overview#a6

작성 및 감수 : 국립보건연구원_대한의학회_대한신생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