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디 죠지 증후군

1. 개요

질환주요정보

  • 관련질환명 : 염색체 22q11결손 증후군(Chromosome 22q11 Deletion Syndrome), 가슴샘(흉선)과 부갑상선의 선천성 결손증(Congenital Absence of the Thymus and Parathyroids), 해링턴 증후군(Harrington Syndrome), 세번째와 네번째 인두낭 증후군(Third and Fourth Pharyngeal Pouch Syndrome), 가슴샘(흉선) 무형성증(Thymic Agenesis), 가슴샘 무형성증, 디 죠지 타입(Thymic Aplasia, DiGeorge Type) 가슴샘 저형성증, 디 죠지 타입(Thymic Hypoplasia, Digeorge Type), 가슴샘, 선천성, 무형성(Thymus, Congenital, Aplasia), 입천장심장얼굴증후군(Velocardiofacial Syndrome), CATCH22(Cardiac, Abnormal facies, Thymic hypoplasia, chleft palate, Hypocalcemia)
  • 영향부위 : 체내 : 감상선 신장 심장 흉선 / 체외 : 귀 눈 두개골 입 코
  • 증상 : 간ㆍ비장 비대, 림프절 비대, 멍이 쉽게 들고 출혈이 잘 멈추지 않음, 발열, 악성 B세포 림프종, 재생불량성 빈혈
  • 원인 : 22번 염색체의 이상, 상염색체의 우성 형질로 유전, 증후군은 흉선과 부갑상선을 형성하는 배아 구조(3번째와 4번재 인두낭)의 발달이상
  • 진단 : 혈액검사, 심장초음파검사, 분자세포유전학검사, 산전진단(양수검사, 융모막 생검)
  • 치료 : 칼슘과 비타민 D를 투여, 약물요법(항진균제, 항상제), 식이요법, 유전상담, 수술
  • 산정특례코드 : V111
  • 의료비지원 : 지원

2. 정의

디 죠지 증후군(DiGeorge syndrome (DGS))은 초기 태아 발생 시에 22번 염색체의 부분 결손으로 인해서 생기는 복합 질환입니다. 부모로부터 유전되는 경우(congenital)는 약 5% 정도이며, 95%는 돌연변이(sporadic)의 결과입니다.
기형은 나중에 갑상선과 부갑상선으로 발달하는 3번째, 4번째 인두낭(pharyngeal pouch)으로 알려진 부분에서 나타납니다.

심장 결함(Cardiac defects), 비정상 얼굴 모양(Abnormal facial features), 흉선 발육 부전(Thymus underdevelopment), 구개열(Cleft palate), 저칼슘혈증(Hypocalcemia)이 디 죠지 증후군의 특징입니다. 각각의 첫 글자를 따서 CATCH라는 약어로 표현하며, 이 질환이 염색체 22번 결손에 의해 일어나므로, CATCH-22로 부르기도 합니다. 디 죠지 증후군의 얼굴 특징은 넓게 퍼진 눈, 처진 귀, 작은 턱과 좁고, 짧은 인중입니다.

정상적으로 흉선(가슴샘: thymus)은 갑상선의 아래와 가슴의 앞쪽에 위치합니다. 흉선은 림프계의 주요한 샘으로 면역 체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위해 필요합니다. 부갑상선은 갑상선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고, 혈중 칼슘 농도를 정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디 죠지 증후군을 앓고 있는 아이의 흉선과 부갑상선은 잘 발달되지 않았거나 없을 수 있습니다. 흉선과 부갑상선 조직의 결손 정도에 따라 증상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디 죠지 증후군의 주요 문제는 면역계의 약화로 감염이 반복해서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증상의 다양성과 정도는 22번 염색체 유전 물질의 상실 또는 결손의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디 죠지 증후군은 매우 희귀한 질환으로 남녀 같은 비율로 발생합니다. 디 죠지 증후군의 유병률에 대해서는 연구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유병률의 범위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신생아 66,000명중 1명부터 독일의 신생아 20,000명중 1명까지로 다양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디 죠지 증후군의 특징: 비정상 얼굴 모양(넓게 퍼진 눈, 처진 귀, 좁고 짧은 인중, 작은 턱), 구개열, 심장 결함, 흉선 발달 이상, 부갑상선 발달 이상 -  보건복지부, 국립보건연구원, 대한의학회

3. 원인

대부분 디 죠지 증후군은 22번 염색체(22q11.2: DiGeorge sydrome chromosomal region or DGCR) 장완(long arm)의 특정 부분이 결실되어 발생합니다.

디 죠지 증후군(하단내용 참조) -  보건복지부, 국립보건연구원, 대한의학회

연구자들은 디 죠지 증후군 환자에게서 보이는 심장, 머리, 얼굴의 기형이 22번 염색체(22q11.2) 장완에 있는 유전자들의 결손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TBX1 유전자는 아마도 디죠지 증후군의 특징적인 증상인 심기형, 입술갈림증, 특징적인 얼굴 모양, 청력 손실, 낮은 칼슘수치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어떤 연구에서는 이 유전자의 결손이 행동장에에도 연관되어 있다고 합니다. 또 다른 유전자는 COMT로, 행동장애와 정신증과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한편, 임신 중에 음주를 하거나 비타민 A 유도체와 같은 약물을 복용한 엄마에게서 태어난 아이가 디 죠지 증후군에 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4. 증상

부갑상선으로부터 부갑상선 호르몬이 정상보다 매우 적게 분비되는 부갑상선기능저하증이 가장 특징적인 증상입니다. 부갑상선 호르몬이 적게 분비되면 저칼슘혈증을 유발하여 생후 며칠 이내에도 발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디 죠지 증후군을 가진 아이들의 갑상선은 잘 발달되지 않았거나 아예 없을 수 있습니다. 흉선(가슴샘:thymus) 발달이 매우 미약해서 바이러스, 진균, 세균에 자주 감염됩니다. 감염의 공통적인 증상으로 만성 비강 (nasal cavity) 감염, 설사, 입의 진균 감염(아구창 또는 구강 칸디다증), 폐렴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디 죠지 증후군을 앓는 아이들의 대다수는 약간의 나머지 흉선 조직은 가지고 있습니다. 흉선 조직이 많이 남아있는 경우, 면역계 결핍과 관련된 증상은 매우 미미하거나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디 죠지 증후군을 앓는 아이는 특징적인 얼굴 모양을 가집니다.

  • - 비정상적으로 두 눈 사이의 거리가 먼 두눈 먼거리증, 위쪽으로 치켜 올라가거나 아래쪽으로 내려간 눈, 패이고 낮게 위치해 있거나 짧은 귀가 나타나게 됩니다.
  • - 귓바퀴에는 비정상적인 주름이 나타납니다. 어떤 경우 청력 소실이나 난청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 - 코는 끝이 네모지고 비정상적으로 크며 둥근 모양입니다.
  • - 입은 매우 작고 경우에 따라 입술에 수직으로 홈이 있는 입술갈림증(구순열: cleft palate)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 정상적으로 말하기가 힘든 비강 구조를 가질 수 있습니다.
  • - 키가 매우 작은 경우도 있습니다.

심장 구조의 이상은 디 죠지 증후군을 가진 태아의 약 74%에서 일어납니다. 대동맥과 폐동맥으로 발달하는 태아 동맥의 기형, 대동맥궁단절, 우측대동맥궁, 심실중격결손, 팔로사징후(Tetralogy of Fallot)가 나타나게 됩니다.

신경학적 문제로 경미한 학습 장애가 생깁니다. 근육의 경련과 움찔거리는 증상이 손목과 발목 관절의 강직 이후에 나타납니다. 경련 발작과 행동 이상, 그리고 우울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소화기계의 이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5. 진단

디 죠지 증후군의 진단은 임상적인 평가, 자세한 환자와 가족의 병력, 그리고 전문 검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디 죠지 증후군의 특징적인 증상인 저칼슘혈증을 확인하기 위해 혈액검사를 하여 혈중 칼슘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흉선의 결손으로 인한 면역 감소를 알아보기 위해 혈액을 이용한 면역 기능 평가를 해보면 T 림프구가 감소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양수검사와 융모막 생검으로 출산 전 산전검사를 통해 22번 염색체(22q11.2)의 결손(deletion)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산정특례 진단기준 :

※원인: 상염색체 우성 유전에 의해 염색체(22q11.2) 결손

※임상증상 : 심장 결함(Cardiac defects), 비정상 얼굴 모양(Abnormal facial features), 흉선 발육 부전(Thymus underdevelopment), 구개열(Cleft palate), 저칼슘혈증(Hypocalcemia)의 증상

※진단 :
  • 유전학적 검사, 산전 검사에서 염색체(22q11.2) 결손 확인
  • 혈액검사 상 저칼슘혈증, 혈액을 이용한 면역 기능 평가상 T 림프구 감소 소견
※진단방법 : 특수 생화학/면역학 검사 도말/배양검사


6. 치료

디 죠지 증후군 유아의 발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혈중 칼슘 농도를 높이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경구로 칼슘과 비타민 D를 투여하면 칼슘의 흡수를 높여 저칼슘혈증에 따른 발작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디 죠지 증후군을 앓는 아이가 감염 되었을 경우는 항진균제, 항생제와 같은 약물치료를 적극적으로 해야 합니다. 또한 항바이러스약제를 사용하여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와 단순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합니다.

디 죠지 증후군과 관련된 심한 면역 결핍이 있는 아이들은 감염의 재발을 막기 위해 최대한 보호해야 합니다. 면역력이 떨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항체를 얻기 위해 접종한 약독화된 생바이러스가 도리어 질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바이러스 백신을 접종해서는 안 됩니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같은 면역억제제도 사용하면 안 됩니다. 만약 사고나 수술로 인해서 수혈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 처치가 필요합니다. 즉, 미리 혈액을 고용량의 방사선에 노출시키거나 세척하여 이식편대숙주질환(GVHD)을 일으킬지도 모르는 백혈구는 제거해야 합니다.

또한 면역이 저하된 환자가 과일이나 야채 주스를 섭취할 때는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미국 식품의약국은 면역 저하 환자들이 저온 살균된 주스를 마실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는 살균되지 않은 주스에는 해로운 세균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이 세균에 의해 감염 질환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디 죠지 증후군 환자 중 일부는 흉선 기능 저하로 T 림프구의 심각한 저하를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complete DGS). 이 경우 감염에 의한 심각한 합병증을 막기 위해 면역 기능을 회복시킬 필요가 있으나 이에 대한 최선의 치료법은 아직 완벽히 정립되어 있지 않습니다.

최근 골수나 제대혈 또는 말초혈액 단핵세포이식술이 시행되어 장기적으로 좋은 예후를 보이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또한 흉선 이식술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디 죠지 증후군과 관련된 해부학적 이상은 필요에 따라 수술로 교정할 수 있습니다. 심장 결함이 심각하여 생명을 위협할 때는 심장 수술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또한 가족과 환자를 위해 유전 상담이 도움 됩니다. 추가적인 치료로는 증상의 완화를 목표로 하는 대증요법과 각종 부작용과 합병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지지요법(Supportive therapy)이 있습니다.

7. 기타정보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Aggarwal VS, Morrow BE. Genetic modifiers of the physical malformations in velo-cardio-facial syndrome/DiGeorge syndrome. Dev Disabil Res Rev. 2008;14(1):19-25.
2. Sean A. McGhee, Maria Garcia Lloret and E. Richard Stiehm Immunologic reconstitution in 22q deletion (DiGeorge) syndrome. Immunol Res. 2009;45:37-45
3. Land MH, Garcia-Lloret MI, Borzy MS, Rao PN, Aziz N, McGhee SA, Chen K, Gorski J, Stiehm ER. Long-term results of bone marrow transplantation in complete DiGeorge syndrome J Allergy Clin Immunol. 2007 Oct;120(4):908-15.
4. http://www.rarediseases.org
5. http://www.ncbi.nlm.nih.gov/books/NBK1523/
6. http://omim.org/entry/188400
7. http://ghr.nlm.nih.gov/condition/22q112-deletion-syndrome

작성 및 감수 : 국립보건연구원_대한의학회_대한신생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