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범위 : 환자, 의사환자
신고시기 : 7일 이내 신고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신고방법 : 표본감시의료기관은 표본감시의료기관용 신고서식(부록2-8)을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및 웹(http://is.cdc.go.kr) 등의 방법으로 신고
표본감시 대상 의료기관 여부 확인 : 관할 보건소로 문의
※해당 의료기관에서 처음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인 경우에 한해 1회 신고함
첨규콘딜롬(Condyloma acuminata)이란 인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중 주로 6. 11번 바이러스에 의해 외음부에 생기는 사마귀성 질환입니다.
환자에 대해 격리는 필요 없습니다.
접촉자를 검진하여 필요시 치료합니다.
미국의 경우 해마다 신규 감염자가 500만 명으로 추정 보고되고 있으며 젊고, 성 활동력이 높은 집단에서 가장 흔한 성 매개 바이러스성 질병입니다. HIV 감염자에서 유병율이 높습니다.
정확한 발생빈도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2001년 표본감시전염병으로 지정되었습니다.
구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
보고수 (건) |
281 | 326 | 388 | 382 | 497 | 696 | 946 | 901 | 1,061 | 1,050 | 1,389 | 1,495 | 1,688 |
기관당 보고수 |
4.9 | 7.1 | 7.9 | 6.5 | 7.1 | 7.8 | 10.1 | 10.5 | 10.9 | 10.5 | 12.0 | 13.2 | 15.1 |
※ 기관당보고수 = 보고수/(1번이상 신고에 참여한 위료기관수)
환자 및 무증상 감염자와 성접촉으로 전파됩니다.
잠복기는 2개월~3개월입니다.
임상증상은 남성과 여성에서, 생식기와 항문 주위 어디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작고, 편평하고, 피부색 융기 또는 양배추 모양의 융기일 수 있습니다. 각간의 사마귀는 보통 직경이 1-2 밀리미터로 측정됩니다. 하지만 군집은 꽤 클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병변이 너무 작아서 보이지 않고 아무 증상도 일으키지 않거나 가려움, 작열감, 압통이나 통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조직에서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하여 진단합니다. 조직검사, 세포질 검사에서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 (HPV)에 의한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확인하면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질경을 이용하여 질 내부와 자궁경부에 있는 사마귀를 확대하고 관찰합니다. 자궁경부질세포진검사 (파파니콜로검사)를 함께 시행합니다.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에 의한 첨규콘딜롬은 조기 발견 후 외과적 수술에 의한 치료가 가능합니다.
TCA : 손이나 발 사마귀에도 쓰는 약으로 의사에 의해 직접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Bleomycin주사 : 의사에 의해 직접 시행되어져야 하는 치료입니다.
인터페론주사 : 다른 주사요법과 효과는 비슷하나 비용이 많이 듭니다.
크기가 아주 크고 숫자가 적을 때 좋은 치료법입니다. 다른 질환과 구분이 어려울 때 조직검사를 같이 시행하면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병변을 얼려서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숙련된 의사에 의해 시행되어져야 합니다.
숫자가 여러 개거나 크기가 커도 시행이 가능합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성 접촉을 금하거나, 검사를 통해 감염되지 않은 한 사람과만 성관계를 갖는 것입니다. 아울러 콘돔의 지속적이고 정확한 사용은 감염의 위험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발병이 완치될 때까지 성 접촉을 금하고, 성상대자도 검사하여 필요시 함께 치료해야 재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4가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을 통해 예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