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간흡충증



간흡충(Clonorchis sinensis) 피낭유충 감염에 의한 간 및 담도 기생충질환

[간흡충(Clonorchis sinensis) 피낭유충 감염에 의한 간 및 담도 기생충질환]

신고범위 : 환자

신고시기 : 7일 이내 신고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대변검사를 통하여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자
    - 대변검사 : 집란법이나 도말법을 이용해 간흡충 충란 및 충체 검출

신고방법 : 표본감시의료기관용 서식을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및 웹(http://is.cdc.go.kr) 등의 방법으로 신고


1. 원인/위험요인

간흡충에 감염된 사람 또는 야생동물의 대변을 통하여 충란이 하천에 오염유입되면 제 1 중간숙주인 담수산 패류에 섭취되어 유충으로 발육됩니다. 이 유충은 제 2중간숙주인 민물고기에 침입하여 피낭유충(단단한 껍질로 둘러싸인 유충)이 되며, 사람이나 동물은 피낭유충이 들어 있는 담수어를 생식하였을 때 감염됩니다. 또한, 담수어의 생식(회) 이외에도 담수어 젓갈 또는 조림, 담수어를 조리시 사용한 오염된 칼이나 도마 등을 통하여 경구 감염되기도 합니다. 제 2중간숙주는 잉어과에 속하는 많은 민물고기로 참붕어, 붕어, 잉어, 향어, 큰납지리, 몰개, 피라미, 모래무지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2. 증상

간흡충증 감염 과정 삽화. 제1중간숙주 : 당수산패류->유충->제2중간숙주 : 잉어과 민물고기->피낭유충->사람->간흡충증(성층)->충란 배출->제1중간숙주

간흡충 감염시 대부분은 증상을 모르고 지냈니다. 감염 초기에는 담관염이 발생하여 발열이나 복통이 있으나 이는 일시적으로 특별한 치료없이 회복됩니다. 감염이 지속되면서 소화불량, 황달, 식욕부진, 설사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감염 장기간 지속되면 합병증으로 담관 농양, 담석형성, 담관 폐쇄, 간비대, 비장비대, 간경화증, 담관암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3. 진단

진단 방법으로 첫째, 대변검사에서 특징적 충란을 확인하면 확진할 수 있습니다. 셀로판 후층도말법이나 포르말린-에테르 집란법을 주로 사용하게 됩니다.

둘째, 혈액을 이용한 면역혈청학적 검사법으로 ELISA나 rapid kit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진단에 보조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세 번째, 간 초음파를 시행하여 담관이 두터워진 것을 확인하면 역시 진단에 보조적인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4. 치료

Praziquantel 25mg/kg을 1일 3회씩 1-3일 투여하면 치료가 가능합니다. 하루 복용으로 치료가 안될 경우 같은 용법으로 반복 투여합니다. 약제 부작용으로 현기증, 두통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예방

담수어를 생식 하지 않는 것이 가장 확실한 예방법이며, 담수어를 다룬 칼과 도마 등 주방 용품은 필히 끓는 물에 10초 이상 가열 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6. 대상별 맞춤 정보

환자 격리는 필요 없으며, 환자와 접촉한 사람도 특별한 격리 조치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7. 기타정보

역학적 정보

간흡충은 세계적으로 분포하지만, 간흡충 감염자는 중국을 포함한 극동지역과 동남아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간흡충증은 폐흡충증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풍토병으로, 낙동강, 영산강, 만경강, 금강, 한강 등의 유역에 농후하게 만연되어 있으며, 특히 낙동강 유역에 큰 유행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제7차 전국 장내 기생충 실태조사(2004년)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간흡충 감염자 수는 약 120만명으로 추계되고 있으며, 2010년 12월 제5군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되어 표본감시되고 있습니다. 2012년도에 신고된 사례는 총 1,943건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작성 및 감수 : 질병관리본부_대한의학회_대한기생충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