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선천성 섬유형 불균형(Congenital Fiber-type disproportion)

질환주요정보

  • 관련질환명 : 제 1형 근섬유 위축증(Atrophy of Type I Fibers), 선천성 섬유형 불균형(CFTD, Congenital Fiber Type Disproportion), 선천성 섬유형 불균형 근육병증(CFTDM(Congenital Fiber Type Disproportion Myopathy)), 선천성 섬유 타입 불균형의 근육병증(Myopathy of Congenital Fiber Type Disproportion), 근육병증, 선천성, 섬유타입 불균형(Myopathy, Congenital, with Fiber- Type Dispropotion)
  • 영향부위 : 체외의 근육, 척추
  • 증상 : 근육이 약해짐, 불수의적 운동, 성장장애, 엉덩이 관절 탈골, 척추측만증
  • 원인 : 상염색체 열성 또는 우성 형질로 유전, 가족력 없이 발생하기도 함, 1번 염색체 장완(1q42.1) 의 알파-골격 액틴(ACTA1) 유전자의 돌연변이, X 염색체 장완(Xq13.1-q22.1)의 알려지지 않은 유전자 의 돌연변이
  • 진단 : 혈액검사(크레아틴 키나아제(Creatine Kinase: CK)의 농도), 근전도 검사, 근육생검
  • 치료 : 능동/수동형 운동(Active and Passiver type exercises), 물리치료, 유전상담, 대증요법(symptomatic treatment), 대증요법(symptomatic treatment)
  • 산정특례코드 : V012
  • 의료비지원 : 지원
  • 체외,체네

1.개요

- 골격근에 이상이 생기면서 각종 증상이 나타나는 희귀한 유전성 근육질환입니다.
- 출생 시부터 근위약이 발생하고 근육 긴장성이 떨어지며, 척추측만증과 높은 입천장, 엉덩이 관절 탈골, 작은 키, 발 기형, 독특한 얼굴 모양, 운동 발달의 지연, 구축이 나타납니다.
- 남녀 동일한 비율로 영향을 미치며, 대개 태어나면서 증상이 나타나지만 몇 달 동안 인식되 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일반 인구에서의 발병률은 아직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 이 질환을 특징을 가진 아동의 첫 사례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의학문헌을 통해 보고 되었다. “선 천성 섬유형 불균형” 용어는 1973년에 처음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2. 정의 및 원인

- 유전성 근육병증의 한 종류입니다. - 가족 사례에서는 질환이 상염색체 열성 또는 상염색체 우성 형질로 유전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드문 사례에서 X-연관 열성 유전 형질을 보인 경우도 있습니다. 가족력 없이 산발성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몇 가지 관련 유전자가 알려져 있습니다.
1. TPM3: 가장 흔한 원인 유전자입니다.
2. 1번 염색체에 위치한 셀레노프로테인 N 유전자(selenoprotein N gene; SEPN1)의 돌연변이는 일부 상염색체 열성 선천성 섬유형 불균형의 원인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3. 상염색체 우성 형질을 보이는 일부 사례에서 1번 염색체 장완(1q42.1)에 있는 알파-골격 액틴(alpha-skeletal actin gene; ACTA1)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유발된고 알려졌습니다.
4. X- 연관 열성 선천성 섬유형 불균형이 X 염색체 장완(Xq13.1-q22.1)에 위치한 알려지지 않은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유발될 수도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골격근은 두 종류의 근섬유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선천성 섬유형 불균형은 제 1형 근섬유가 제 2형 근섬유에 비해 현저히 작은 특징을 보입니다. 이러한 근섬유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질병의 증상들이 발생하게 됩니다.

근섬유의 종류와 특징

3. 증상

- 선천성 섬유형 불균형의 증상은 사람들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때때로 이 질환은 한 가지 증상만 나타나기도 하고 여러 가지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증상이 좋아지는 경과를 보입니다.
- 선천성 섬유형 불균형은 출생 시부터 근육이 약해집니다. 근육의 긴장성을 잃어버리게 되는데, 이는 비진행성입니다.
- 척추측만증, 엉덩이 관절 탈골, 발의 기형, 불수의적 운동이 나타납니다. 성장 장애를 보일 수 있으며 긴 얼굴, 높은 입천장, 돌출된 이마, 얼굴 근육의 약화와 같은 특징적인 얼굴 형태를 보입니다.
- 지능은 대부분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4. 진단

- 선천성 섬유형 불균형은 임상적인 증상과 병력, 신체 징후, 가족력 등를 기반으로, 근육 생검, 근전도 검사 등을 시행하여 진단할 수 있습니다.
- 선천성 섬유형 불균형은 수많은 다른 선천성 근육병증 형태의 신체적 특징들과 공유하기 때문에 신체 적 특징만으로 진단할 수 없습니다. 신체적 특징과 근육 생검 소견을 종합하여 진단합니다.
- 근육 생검: 특징적으로 제 1형 근섬유가 제 2형 근섬유에 비해 작고 위축된 소견을 보입니다. 제 1형 근섬유가 제 2형 근섬유에 비해 약 25% 작고, 그 수가 증가되어 있습니다. 반면에 제 2형 근섬유는 정상 크기이거나 비정상적으로 비대되어 있습니다. 한편 제 1형 근섬유는 없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적 소견을 통해 확진할 수 있습니다.
- 근전도검사: 소진폭, 짧은-지속시간 운동단위전위와 같은 근육병증 소견이 관찰됩니다.
- 근육효소수치(혈액검사): 근육의 손상을 반영하는 크레아틴 키나아제(creatine kinase)의 수치가 정상 또는 약간 상승된 소견이 관찰됩니다.

산정특례 진단기준

  • 영아기에 시작되는 근육병증을 가진 환자로,근생검상 근육병증을 유발하는 다른 원인이 배제되며 일 차성 근육병증이 확인되어야 하고,근육의 위약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원인이 배제된 경우

*진단방법 : 조직학 검사

5. 치료 및 예방

- 선천성 섬유형 불균형을 완치시키거나 질병 진행을 막는 치료방법은 없습니다.
- 근육의 활동을 유지시키고, 환자가 최대한으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주며, 평균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치료의 목표입니다.
- 이 질환으로 인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지만 환자가 성장함에 따라 저절로 증상이 좋아질 수 있으므로 기형이 생기거나 기형이 영구적으로 남지 않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근육이 약해지는 증상은 능동-수동형 운동과 물리치료를 통해 호전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환자가 성 숙함에 따라 기능적인 향상을 보이므로 기능과 형태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합니다.

능동형 운동과 수동형 운동

- 환자들에게 나타나는 척추측만증, 발의 기형 등 골격계 이상을 치료하여 일상적인 움직임을 할 수 있도록 하며, 호흡기계에 이상이 생기는 것을 예방해야 합니다. 또한 신생아 중 지속적으로 음식을 먹지 못하는 환아들의 경우 위관을 삽입하여 튜브로 영양을 공급해줍니다.
- 가족과 환자를 위해 유전상담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추가적인 치료로는 증상의 완화를 목표로 하는대증요법과 각종 부작용과 합병증을 조절하고 완화시키기 위해 지지요법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6. 기타정보

[참고문헌 및 사이트]

작성 및 감수 : 국립보건연구원_대한의학회_대한신경과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