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선천성 이상근긴장증(Paramyotonia congenital)

질환주요정보

  • 관련질환명 : 선천 이상근육긴장증(Paramyotonia Congenital), 오일렌부르그 병(Eulenburg Disease), 간헐성 선천성 근긴장증(Myotonia Congenita Intermittens), 마비성 주기성 이상 근긴장증(근육긴장증)(Paralysis Periodica Paramyotonica), 본 오일렌부르그의 선천 이상근육긴장증(Paramyotonia Congenita of Von Eulenburg), 본 오일렌 부르그 선천 이상근육긴장증(Von Eulenburg Paramyotonia Congenita)
  • 영향부위 : 체내의 신경, 체외의 근육
  • 증상 : 이완성 마비(Flaccid paresis), 주로 얼굴, 혀, 손의 근육에 주로 근육긴장증(Myotonia)이 나타남
  • 원인 : 상염색체 우성 형질로 유전
  • 진단 : 근전도검사
  • 치료 : 약물요법(아세타졸라마이드(Acetazolamide), 티아지드(Thiazide), 토카나이드(Tocainide) 등), 대증요법(symptomatic treatment), 지지요법(supportive therapy)
  • 산정특례코드 : V102
  • 의료비지원 : 지원
  • 체외,체네

1.개요

운동에 의해 증상이 악화되는 것이 특징인 상염색체우성 형질로 유전되는 희귀한 근육 질환입니다.
근육이 수축한 후에 정상적으로 되지 않으며, 주로 영아기에 처음으로 증상이 나타나고, 발병한 상태에서는 더 이상 진행되지 않습니다.

추위로 인해 증상이 유발될 수 있으며, 근육의 힘이 빠지는 이완성 마비도 간헐적으로 나타나지만, 이러한 현상은 반드시 추위에 노출 되었을 때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선천 이상근육긴장증은 매우 희귀한 질환으로 남성과 여성 모두 동등하게 영향을 받으며, 독일에서의 연구에 다르면 이 질환의 발병률은 180,000명 중 1명에서 350,000명 중 1명 사이로 알려져 있습니다.

2. 정의 및 원인

- 채널병증(channelopathies)의 한 종류입니다.
- 상염색체우성 형질로 유전되며, 17번 염색체의 장완에 위치(17q23.1-q25.3)하고 있는 유전자 SCN4A의 변이에 의해 발생합니다.
- 이 유전자는 나트륨 채널을 인코딩하는 유전자입니다. 이 유전자에 변이가 생기면 나트륨 채널의 기능이 저하됩니다.
- 골격근의 세포막에는 여러 종류의 이온 채널이 존재하며, 골격근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 골격근 세포막에 위치한 나트륨 채널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서 근 근긴장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골격근의 구조

염색체 위치 표기법

3. 증상

- 얼굴, 목, 팔 등에 근육 경직과 약화가 나타납니다.
- 근육을 수축시킨 후 정상적으로 이완시키지 못하는 근육긴장증을 보입니다.
- 이러한 증상은 추위에 노출된 경우 더 심하게 나타나며, 얼굴, 혀, 손의 근육에 주로 근육 긴장증이 나타납니다.
- 운동 근육의 반복되는 수축은 근육 긴장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혈액 내 칼륨의 농도가 상승하여 이완성 마비가 나타나는 환자도 있습니다.
- 선천 이상근육긴장증은 일반적으로 영아기에 명확하게 나타나며, 이후 나이가 들어도 진행되지는 않습니다. 또한 근육 위축이나 근육 비대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선천 이상근육긴장은 대부분 얼굴,목과 팔에 근육 경직과 약화가 나타납니다.

4. 진단

전기생리학적 검사

1) 근전도검사
- 선천 이상근육긴장증(Paramyotonia congenita)을 진단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이 검사는 근육이나 신경을 포함한 운동단위 내 병변의 위치가 어느 곳인지 또한 어느 정도로 심한 상태인지를 추정할 수 있고, 병의 진행여부 및 회복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입니다.
- 근전도검사시 가장 눈에 띄는 현상은 팔과 다리를 차갑게 했을 때 비정상 자발 활동인 섬유자발전위(fibrillation potential)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근육의 온도가 30도 정도에 다다르면 가장 심한 증상을 보입니다.

2) 신경전도검사
- 단기운동검사(short exercise test)에서 복합운동활동전위(compound motor action potential, CMAP)의 감소가 관찰됩니다.
- 팔다리를 차갑게 하였을 때 복합운동활동전위의 감소가 관찰됩니다.
- 환자들의 팔과 다리를 움직이거나 타진하였을 때 근긴장증을 보이는 소견도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선천 이상근육긴장증은 다른 근육 질환들과의 공통점이 많으므로 감별진단을 위해 환자의 증상에 따라 추가적인 정밀 진단 검사가 더 필요할 수 있습니다.
- 근육의 손상을 반영하는 혈액 내 크레아틴키나아제(creatine kinase) 수치가 증가될 수도 있습니다.

운동단위의 개념

산정특례 진단기준

  • 일반적으로 영아기 및 소아기에 나타나는 근육질환으로, 추위에 노출된 후 근긴장증이 시작되어 일정 기간 동안 지속되는 현상(paramyotonia)이 임상적으로 관찰되며 근전도 검사에서도 확인되는 경우

*진단방법 : 임상진단

5. 치료

- 질병을 완치시키는 치료 방법은 아직까지 개발되어 있지 않습니다.
- 근육 강직과 경련을 조절하기 위해 나트륨 채널에 작용하는 약물인 페니토인(Phenytoin) 또는 카바마제핀(Carbamazepine)과 약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비정상적인 자극을 멈추게 하고 증상이 재발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 아세타졸아마이드(acetazolamide)나 티아지드(thiazide)와 같은 이뇨제가 간헐적 마비 증상의 빈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유전 상담이 환자와 가족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6. 기타정보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Clinical, electrophysiological, and molecular genetic studies in a new family with paramyotonia congenita.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0 Apr;68(4):504-7.
2. Davies NP1, Eunson LH, Gregory RP, Mills KR, Morrison PJ, Hanna MG 2007 National Organization for Rare Disorders, Inc.
3. http://www.rarediseases.org
4. http://www.mdausa.org
5. http://www.hkpp.org
6. http://www.nlm.nih.gov/medlineplus
7. http://en.wikipedia.org/wiki/Paramyotonia_congenita
8. http://omim.org/entry/168300
9. http://ghr.nlm.nih.gov/condition/paramyotonia-congenita

작성 및 감수 :국립보건연구원_대한의학회_대한신경과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