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퇴 골절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대퇴 골절
(정의)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관절인 고관절부위는 골반뼈와 넓적다리뼈를 잇는 관절로 하반신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고관절에 문제가 있으면 서고 걷는 등의 기본적인 활동이 어렵기 때문에 삶의 질이 떨어집니다.
(원인)
대부분의 노인들은 신체의 유연성 및 균형감각이 떨어지고 뼈가 약하기 때문에 가벼운 낙상에도 쉽게 뼈가 부러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끄러운 길에서 넘어지거나 화장실에서 미끄러져 고관절 골절을 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에는 50세 이상 성인 남녀의 고관절 골절이 증가했는데 그 이유는 사회적으로 급격히 진행된 도시화와 이에 따른 생활습관의 변화, 그리고 도시화로 인해 운동량이 감소하고 바깥생활을 덜 하게 됨으로써 비타민 D의 생성이 부족해져 뼈의 강도 자체가 약해졌기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대퇴골 경부골절 사례 1 수술 전 후)
(대퇴골 경부골절 사례 2 수술 전 후)
(대퇴부 대전자 골절 사례 1 수술 전 후)
(대퇴부 대전자 골절 사례 2 수술 전 후)
(증상)
1) 외상이 있으면서 하지를 움직일 수 없다.
2) 골절이 심하면 다리가 짧게 보일 수 있다.
3) 엉덩이 관절을 움직이면 심한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4) 양반다리를 하면 통증이 더욱 심해진다.
5) 부전골절
- 골다공증이 심한 환자의 경우 대퇴경부의 전위가 없는 골절이 발생
- 골다공증으로 인해 약해진 뼈가 일상적인 체중 자체를 견디지 못해 골절됨.
- X-ray상에서 골절이 잘 보이지 않아 놓치는 경우가 많으며, 시간이 경과한 후에 골절 부위의 골진이 보이면서 골절이 진단되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에 X-ray검사와 함께 동위원소검사를 함께 시행을 해야만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진단)
엑스레이로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치료)
치료방법은 골절의 상태에 따라 다양합니다. 골절 부위가 심하게 서로 심하게 박혀 있는 감입 골절의 경우 골절 부위의 안정성이 뛰어나지만 약 15%에서 골절 부위가 다시 전위되는 경우가 있어서 나사를 이용한 고정술을 시행합니다. 수술을 한 후에는 동위원소 검사를 시행하여 대퇴골두로의 혈관 손상이 동반되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혈관 손상으로 인해 골두의 괴사가 발생하여 재수술을 요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골절 부위의 전위가 심하게 된 경우에는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수술을 시행한 다음 7일 이내에 보행이 가능합니다. 지속적인 골다공증 치료를 요하며, 인공관절 수술을 한 다음에는 외래에 내원하여 주기적으로 인공 관절의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